어른이 되면 괜찮을 줄 알았다 - 심리학, 어른의 안부를 묻다
김혜남.박종석 지음 / 포르체 / 2019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어른에게는 아이같은 감정이 없을까?"

"어른이 된다는 것은 모든 일에 통달한 사람이 된다는 뜻일까?"

"우울한 감정은 어른이 되면 괜찮아질까"


누구든 해봤을 법한 자문이다. 어릴 때는 얼른 미성년에서 벗어나고 싶었는데 생각보다 빠르게 어른이 되어버렸다. 아이보다 어른의 시간을 더 오래 살아온 지금도 여전히 묻게 되는 질문들이다.

한편, 이런 질문도 자주 하게 된다.


"어른이 어른답지 못하게 왜 저럴까?"

"어른이면 값을 해야지!"


이럴 땐 마치 나는 안 그런데 볼썽사나운 어른들을 힐난하는 조가 된다.

한때는 사람들에게 빡빡한 잣대를 들이댔고 그 잣대로 스스로를 모질게 들볶기도 했다. 그러나 이제는, 어른이 된다는 것이 무슨 성인군자가 되는 것도 아니요 실수 없이 어떤 일이든 거뜬하게 해내는 것도 아니라는 것은 안다. 그래서 어느정도 자신과, 또 타인에게 너그러워질 정도의 유연함을 가지게 되었다. 아니, 그러려고 계속 노력중이다.

'심리학, 어른의 안부를 묻다'는 부제의 책, <어른이 되면 괜찮을 줄 알았다>는 대표적으로 우울증을 앓는 어른들이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물론 이 책은 우울증뿐 아니라 현대인들이 겪고있는 여러 정신질환들을 다룬다. 정신과의사 김혜남, 박종석씨가 공동집필했으며, 몇개의 정신질환 사례들의 사이사이에 "일요일 오후 1시"라는 꼭지는 실제 상담처럼 Q&A코너도 두고 있다. 각각의 사례를 읽다보면 미디어 속에서 만나는 경우, 혹은 주위 사람의 증상이나 자신의 상황과 유사한 것들을 만나게 된다. 그래서 목차를 주욱 훑어보고 독자에게 직접 와닿는 것부터 읽어보면 좋을 것이다. 처음부터 읽든 맘에 끌리는 것 어디에서부터 먼저 읽든 상관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게 가장 와닿은 부분은 비교때문에 생기는 "허언증"과 "감정 다스리기"였다.

"허언증"의 사례처럼 SNS에 거짓말을 쓸 정도는 아니지만, 글쓰기로 시작한 블로그와 인스타그램때문에 이웃과 팔로워가 많은 이들과 자꾸 비교하게 되었다.


p.103~104

남은 제아무리 영향력이 있어 봤자 남이다. 내 삶의 주체는 결국 나 자신이다. 내 삶을 가꾸고 성장시키기에도 모자란 귀한 시간을 남의 시선을 의식하며 거짓인 나를 꾸미는데 허비해선 안 된다.

………

남에게 자랑할 수 있는 삶이 아닌 나에게 충실하고 진정성이 있는 하루하루를 보내는 것이 정말 중요하다.


저자의 귄유대로 작은 도전을 해봐야겠다. 몇년 쉬다가 얼마전 다시 시작한 요가에서 예전만큼 유연하게 하지 못해서 답답해하는 중이다. 올 1월에 교통사고로 다친 목때문에 더 그렇기도 하지만... 플랭크 자세를 30초간 유지하는 것이 너무나 힘들다. 기껏해야 주 2,3회 가는 요가에서 별 발전이 없는 것 같아서 이젠 집에서도 매일매일 해볼 생각이다. 매일 5초씩 늘려서 버티다보면 일주일후에는 1분간 버틸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조금씩 늘려나가 물렁한 뱃살에 근육이 잡히길 기대해 본다. 에너지를 나에게 집중시켜서 작은 성취로 자신에게 충실한 하루를 보내도록 해봐야겠다.

"감정 다스리기"에서는 '모든 감정은 정상이다'라고 한다. 아무리 성숙한 사람이라도 어느 순간 감정에 휩싸일 수 있고, 감정적 행동이나 결정으로 큰 실수를 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이렇게 조언해주고 있다.


- 감정이 하는 말에 귀를 기울여라.

- 감정을 두려워하지 말라.

- 감정을 표현하라.

- 너무 오래 나쁜 감정 속에 머물지 말라.

- 다른 사람의 감정도 들여다보자.


 이젠 어느정도 타인의 감정도 관찰할 수 있게 되었다고 생각했는데, 이 부분을 읽다보니 아직 자신의 감정을 잘 컨트롤하지 못하고 있을뿐 아니라 남의 감정에 공감하는 능력도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거기다 내 외로움과 슬픔을 공감받기만을 바라고 있었다. 충고처럼 자신의 감정에만 몰두하지 말고 다른 사람의 얼굴과 눈빛을 잘 들여다봐야겠다. 그 사람의 관점으로 사물을 보려는 노력도.

책을 처음 받았을 땐 '그동안 심리학책 꽤 읽었는데 뭐 더 배울게 있을까?'싶었다. 하지만 책 속의 사례들로 자신을 돌아보니, 어른이지만 여전히 모자란 게 많다는 것을 절감했다. 이 책의 장점은 아주 잘나보이는 두 정신과 의사도 정신적 어려움을 겪었으며 인간이라는 것이 매일 성장하는 존재라는 것을 다시금 일러준다는 것이다. 그래서 아무리 지금이 죽을것 같이 힘들더라도 "우리는 분명히 괜찮지 않다가도 금세 괜찮아진다"는 위로에 힘을 얻게 된다. 때로는 책 한 권이 마음을 위한 비타민제가 되기도 한다.

 

*** 본 리뷰는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받아 작성하였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