샘터 2019.7
샘터 편집부 지음 / 샘터사(잡지) / 2019년 6월
평점 :
품절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19년 7월 월간 샘터의 표지 사진은 알록달록한 색깔의 바늘꽂이들이다. 사진 설명을 보기 전까지는 화려한 색감에 이끌려서 '이게 무엇일까?'하는 궁금증은 잠시 접어두었다. 뜨거운 여름에 어울리는 표지이다.

 

 7월호 "특집사연"의 주제는 '뜻밖의 위로를 주는 사물'이다. 주로 오래전 추억이 깃든 물건에 대한 사연들이다. 다른 이에게는 아무 것도 아닐 수 있는 것이지만 자신에게는 더없이 소중한 것에 대한 이야기이다. 그것을 꺼내볼 때마다 웃음짓게 되고 위로받게 되는 것들이다.


첫 사연은 50 여 년 전, 월남전 참전중이던 삼촌에게서 받은 만년필을 지금껏 가지고 있는 분이다. 물건들의 유통기간이 너무나 짧아져버린 요즘, 거기다 더이상 손으로 펜을 사용하여 편지라는 것을 쓰지 않는 시대에 희귀하게 느껴지는 물건이다.

"이 달에 만난 사람"은 다큐멘터리 사진가 조문호 작가이다. 올해 73세인 그는 서울 동자동의 쪽방촌에서 생활한다. 1인용 침대와 컴퓨터 책상만으로 꽉 차는 1.25평짜리 작은 방에서 3년째 생활하고 있지만 그는 가진 게 없어 행복한 삶의 역설을 증명하고 있다.

 아무도 관심 두지 않는 이면에 눈길을 주고, 누구나 관심 가질 만한 소재나 화려한 기술이 필요한 소재엔 눈도 돌리지 않는다. 아무나 할 수없는 행동이다. 하고 싶은 대로 하고 살아온 인생에 후회는 없다는 그의 표정에 아직 젊음이 보인다.

"마을로 가는 길"은 광주 양림동 펭귄마을이다. 바닷가도 아닌 광주에 웬 펭귄마을일까 궁금했는데, 마을 가꾸기에 솔선수범한 김정제(70세)씨의 별명이 펭귄이라서 그렇게 지어졌다는 것이다.

 활기넘쳤던 동네가 주위에 많이 생긴 아파트로 사람들이 떠나버려 인적끊긴 곳을 촌장 김동균씨와 펭귄 아재 김정제씨의 노력으로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곳으로 탄생시켰다. 김현승 시인의 말,

"양림동에 오면 모두가 시인이 된다. 등불을 하나씩 켜고 걷는 시인이 된다."

읽고있자니 펭권마을 골목골목을 걸어보고 싶어진다.

 

월간 샘터 7월호, 일반인들의 사연인 특집과 행복일기를 읽으며 가까운 이웃들의 행복을 엿볼 수 있고 배우 지창욱씨의 근황과 최신 문화계 소식도 다양하게 접할 수 있다. 늘 눈여겨 읽는 코너 "샘터 시조"란에 실린 시조들이 예쁘다. 투고도 할 수 있으니 관심있는 독자들은 참여해보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