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스스로 빛나는 별이다 - 우주에서 발견한 삶의 지혜 아우름 38
이광식 지음 / 샘터사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누구인가?' 를 알고 싶다면 먼저 자신이 있는 곳, 바로 우주를 알아야 한다.

-물리학자 조용민-

 

 

"우주"하면 나와는 별 상관없고, 그저 머나먼 이야기 같다. 아마 전공자나 특별히 관심있는 사람이 아니라면 비슷할 것이다. 그런데 내가 누군지를 알려면 우주부터 알아야 한단다.

왜냐??

우리가 있는 곳이니까!!

알겠다!

알긴 알겠는데!!

천문학, 우주 관련 책은 선뜻 손길이 가지 않는 분야이다. 그럼 천문학 작가 이광식씨의 책 <우리는 스스로 빛나는 별이다>를 추천한다.

샘터 출판사의 아우름시리즈 38번째 책이다.

우주에 관련된 지식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낸 이 책은 중학생부터 성인까지 천문학 입문용으로 접하기에 알맞다.

 

 

위 목차를 보면 1장에는 우주의 역사와 크기에 대해서, 2장은 별과 은하수에 대한 지식을, 3장은 지구가 속해 있는 태양계에 대해, 4장은 최근 관심집중된 블랙홀을 다루고, 마지막 5장은 우주탐사에 대한 내용이다. 책 중간중간에 지루하지 않도록 설명에 적절한 사진들도 실려있다.

 

 

올해 5월에 나온 책이라서 4월에 최초로 찍힌 블랙홀 사진과 그에 대한 내용도 실려있다. 이런 과학책은 최신의 정보가 들어있어야 하고 믿을 수있는 저자가 쓴 것이어야 하는데 이 책은 그 두 가지를 모두 충족하고 있다.

각 장의 마지막에는 [재미난 쉼터]라는 페이지를 두어 잘못 알고 있는 천문상식을 바로 잡아준다. 요 코너의 재미가 쏠쏠하다.

 

↑↑↑ 그동안 음모론으로 제기되어온 아폴로 11호의 달 착륙 관련된 내용에 대해 깔끔하게 정답을 제시해 주고 있다.

 

저자는 칼 세이건의 "창백한 푸른 점"을 여러번 인용하며 이렇게 말한다.

 

 

우리가 사는 이 행성은 거대한 우주의 흑암으로 둘러싸인 한 점 외로운 티끌일 뿐이다.

………

우리는 별들이 만든 원소들, 곧 별 먼지로 이루어진 존재들이다. 초신성이 삶의 마지막 순간에 대폭발로 제 몸을 아낌없이 우주로 뿌리지 않았다면,

지구도, 인간도, 새들도, 나무도 지금 존재하지 않았을 것이다.

나라는 존재 자체가 바로 우주와 맞먹는 기적이다.

 

 

 책을 덮으며 캔사스의 노래 "DUST IN THE WIND"가 흥얼거려졌다. 그들은 세상사 먼지와 같고 순식간에 사라질 수 있고, 그래서 집착하지 말자고 노래했다. 오늘 이 책을 통해 그 먼지, 그 티끌이 우리를 만든 것이라는 것을 확인하며 그 작음의 위대함을 새삼 몸으로 느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