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흔에게 (양장) - 기시미 이치로의 다시 살아갈 용기에 대하여
기시미 이치로 지음, 전경아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18년 10월
평점 :
품절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미움받을 용기>로 유명한 일본 아들러 심리학의 대가 기시미 이치로<마흔에게>라는 신작을 출간했다. <미움받을 용기>를 읽고 깨달은 바도 많았고 잘못된 생각을 고치게 된 부분도 있어 기대가 된 책이었다. <마흔에게>는 꼭 마흔이 된 사람들만이 읽어야 할 책은 아니다. 일본은 이미 우리보다 먼저 고령화 사회를 겪었지만 우리나라는 일본보다 빠른 속도로 고령화 사회를 넘어 초고령화 사회가 다가오고 있다. 그래서 다양한 노인문제가 대두되고 있고 노인세대를 위한 산업도 발전하고 있다. 그중 가장 핫한 부분은 안티에이징 분야일 것이다. 젊고 건강하게 살고자 하는 노년층을 공략하여 그들의 지갑을 활짝 열게 만드는 분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나이가 들면서 느끼는 허무함을 건강한 심리상태로 지낼 수 있도록 하는 노력도 아주 중요하다. 이 책은 나이 듦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적이고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 되겠다.
 
 작가는 젊고 건강한 사람들도 인생을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주고 싶다고 말했듯 작가의 경험과 철학적 지식이 독자들에게 길라잡이가 될 것이다. 또한 그의 부친을 간병하면서 겪은 이야기도 있기 때문에 자식들이 부모를 바라보는 시각과 마음자세의 교정도 할 수 있으리라고 본다. 나이 듦에 대해 어떤 시각을 가져야 할지에 대해 작가는 서문에서 이렇게 밝히고 있다.

 

"계절은 봄에서 여름 그리고 가을, 겨울로 바뀌는데 각각의 계절마다 특성이 있기 때문에 다른 계절과 우월을 가릴 수 없습니다. 즉, 노년의 삶은 청년의 삶과 비교할 대상도 아니고 결코 뒤떨어지는 것도 아닙니다. 나이 듦을 퇴화로 보지 않고 변화로 인식하면 나이 듦에 대해서 다른 시각을 가질 수 있습니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1. 인생, 내리막길이 최고!
2. 어제 못한 일을 오늘은 할 수 있다
3. 적어도 오늘은 살 수 있다
4. 다시 살아갈 용기
5. 어떻게 살 것인가
6. 부모와 자식 사이 적당한 거리 두기
7. 못한다고 말하는 용기
8장 내가 가치 있다고 생각할 때
9. 나는 나부터 챙기기로 했다
 
각 장에서 노년을 걱정하는 독자들에게 작가가 권유하는 삶의 태도를 몇 가지 인용해 본다.

- 젊은 시절에 어렵다고 느꼈던 책, 언젠가 읽으려고 책장에 고이 모셔두었던 책을 펼쳐보는 것도 좋다. 지금이라면 좀 다르게 음미할 수 있고, 새로운 발견도 적지 않게 할 수 있다.
- 지금의 내가 할 수 있는 일을 하면서 어떤 상태든 거기에 있는 것만으로 살아 있는 것만으로 타자에게 공헌할 수 있다.
- 바꿀 수 없는 것에 집착하지 말고 눈앞에 있는 바꿀 수 있는 것을 직시한다.
- 필요한 도움을 얻으려면 일단은 내가 먼저 행복해야 한다. 간병의 고단함을 푸념하거나 지친 얼굴을 하면 도움의 손길을 내밀려는 사람도 뒷걸음치게 된다.
- 부모에게 하기 어려운 말도 할아버지, 할머니 혹은 삼촌같이 쉽게 털어놓을 수 있고, 차분히 들을 수 있는 관계도 있다. 아들러 심리학을 아저씨 아주머니 심리학이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그 이유는 서로를 상대할 때 적당한 거리감을 유지하고 서로의 관계에 침범하지 않으려고 하기 때문이다.
- 행복은 인격이다. 사람이 외투를 벗어버리듯이 늘 홀가분하게 다른 행복을 벗어버릴 수 있는 사람이 가장 행복한 사람이다. 하지만 진정한 행복은 그가 벗지도 않을 것이고 벗어버릴 수도 없다. 그의 행복은 그의 생명처럼 그 자신과 하나이기 때문이다.
- 타자와 신뢰관계를 맺고 싶다면 이쪽이 먼저 상대를 신뢰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에는 용기가 필요하다. 많은 사람이 배신당할지도 모른다는 의심 대문에 타자를 신뢰하기를 두려워한다. 하지만 배신당할까봐 두려워서 타자를 신뢰하지 않으면 깊은 관계를 맺을 수 없다.
- 세상에는 다양한 사람이 있다. 사물을 보는 견해와 느끼는 정도는 사람마다 다르다. 가족이어도 서로의 생각과 마음을 말로 전하지 않으면 알 수가 없다.
- 자식이나 손주를 대할 때, “이렇게 되었으면 좋겠다.” “이런 사람으로 자랐으면 좋겠다.”라는 생각을 품어서는 안된다. 어떻게 사느냐, 어떤 인간이 되느냐는 본인이 결정할 문제이며 본인의 과제이다.
- ‘지금, 여기를 충실하게 사는 것이 풍요로운 숲을 만들고, 다음 세대의 양식이 되는 도토리를 만든다고 생각하면 과거를 생각하고 후회하거나, 미래를 생각하고 불안해질 필요가 없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사고가 점점 편협해져 가는 것 같다는 고민을 하던 차에 이 책을 만나게 되어 각성하게 되었다. 내가 정한 기준을 벗어나는 사람들을 만나게 되면 언짢아져서 다시 만나고 싶지 않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자신을 보았다. 어쩌면 타인을 자꾸만 내 기준에 맞추려고 하는 못된 버릇으로 고착화 되었을지도 모르는데 이치로 교수의 충고를 들어 다행이다. 또 연세 많으신 부모님의 간병이 내 몫으로 다가올 것만 같은 불안감이 있었는데 조금이나마 덜 수가 있게 되었다.
 
 작가의 말은 어찌보면 뻔한 말일 수도 있다.
하지만 늙어감을 한탄만 하며 외골수로 늙어가는 추한 노인이 되지 않으려면!!
그렇게 되어가는 스스로를 경계하고자 한다면!!
이 책을 가까이 두고 때마다 열어보면 좋겠다.
그래서 지금, 여기에서 행복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