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샘터 2018.10
샘터 편집부 지음 / 샘터사(잡지) / 2018년 9월
평점 :
품절

10월은 온누리달~~
온누리에 환하게 비추는 보름달 빛을 닮은 은행나무가 넉넉함을 뿜뿜하고 있는 표지.
표지 그림을 보는 것만으로도 맘 속에 든든함이 차오르는 듯 하다.
8월에 있었던 전시소식에서 샘터 표지화 전시 기사를 보고 놀랐다. 아마 나뿐만이 아니었으리라. 1970년 4월 창간호부터 고흐의 <해바라기>를 표지로 썼다고~ 98년 4월까지 38년간 한국 대표작가들의 작품을 실었다고 한다. 김기창, 장욱진, 박노수, 천경자등등... 쟁쟁한 이름들이 아닌가. "샘터 50 표지화 전" 은 그간 샘터를 거쳐간 화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볼 수 있는 전시였다고 한다. 직접 가서 보았다면 명화 감상과 함께 샘터 표지의 역사도 확인할 수 있었을텐데 아쉽다. 이런 전시는 좀 길게 하거나 홈페이지상에서 온라인 전시를 해주었다면 훨씬 많은 이들이 접할수 있었을텐데...

10월호 "이 여자가 사는 법"의 인물은 송소희씨다. 아기였을 때 모습이 선한데 어엿한 국악인으로 성장한 모습을 보니 반가웠다. 경력은 제법 되지만 아직도 '자신의 목소리의 매력을 찾으려 노력하고 어떤 민요를 부르고 싶은지 계속 질문하는 중'이라고 한다. <모던민요>라는 앨범을 발매했는데 반응이 좋다하여 찾아들어봤더니 과연~~ '민요가 이렇게 감각적일 수도 있구나!' 싶어 놀라웠고 듣기에도 아주 편했다. 아직 앞길이 창창한 그녀가 새로운 시도를 많이 했으면 좋겠다. 민요를 대중들과 같이 호흡할 수 있는 음악으로 만들어 주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