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문화유산답사기 : 산사 순례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8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네스코 문화유산 등재로 우리나라 산사에 대한 관심이 새삼 일깨워진 것을 보면서 산사를 찾아가는 분들의 길라잡이가 되기를 희망하며, 기왕에 쓴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에서 소개한 산사 20여곳을 한 권으로 엮었다. 여기에는 세계유산에 등재된 대흥사, 부석사, 선암사, 봉정사 답사기가 들어있고 등재되지 않았지만 '산사의 미학'을 보여주는 명찰들로 가득하다. 어느 지역을 가든 그곳에 산사가 있으면 내 발길이 그냥 지나친 적이 없다. 어쩌면 산사가 있기에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가 가능했는지도 모른다. 부디 이 책이 산사를 순례하는 답사객의 좋은 안내서가 되기를 희망한다."

 

 그렇다!! 이 안내서를 길라잡이 삼아, 곁에서  유홍준 선생의 설명을 조곤조곤 들으며 산사 방문을 하려했었다. 다녀온 후기를 리뷰처럼 쓰려고 계획했다. 허나 그것은 너무나도 원대한 포부였고~~ 늘 그렇듯 예기치 못한 일들은 툭툭 터지고 책 읽을 시간도 없이 시간은 휙휙 지나갔다.

위 발췌글에도 나와있다시피 기존에 썼던 것들에 몇군데를 추가하여 낸 책이라 그간 시리즈를 주욱 읽어왔던 독자들은 새로운 맛이 덜 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이 책을 처음 받았을 때 손에 딱 와닿는 느낌으로 상쇄되지 않을까 싶다. 종이책이 가진 물성때문에 E-BOOK 보다는 종이책을 구매하는 이들에겐 장점이 있다고 본다. 표지의 재질이 종이가 아니라 고무 느낌이다. 젖거나 찢어질 염려가 없다. 분리되는 겉표지가 따로 없어서 좋다.

 

 

 가장 마음에 드는 부분은 아무 페이지나 펼쳐도 책장이 넘어가지 않고 양면이 완전히 펼쳐지는 것이다. 읽던 페이지를 그냥 펼쳐놓고 싶은데 대부분의 책들은 자동문 닫기듯 획 덮어져서 어디를 읽었더라?하며 뒤적거리게 되는데 그럴 일 없어서 좋다. 낱장의 두께감도 딱 알맞다.

 

 소개하는 한 군데라도 다녀온 후 리뷰를 쓰고 싶었으나 그러질 못해서 나만의 방식으로 정리해 보았다. 테마는 "산사로 가는 길"~~ 각 산사마다 역사, 자연, 일주문, 가람배치, 대웅전, 소속 문화유산, 자신의 체험등 아주 다양하고도 전문적인 지식까지 총망라되어 소개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나의 시선을 잡아끈 부분은 '산사진입로'에 대한 설명이었다. 글로 풀어쓴 그 부분을 읽노라면 마치 매화잎 흩날리는 길을 걸으며 산사로 걸어들어가는 모습을 연상케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소개하는 각 산사 진입로의 계절, 풍광의 특징으로 정리했다.

[부석사]
천왕문까지 길양옆으로 은행나무 비탈길, 늦가을에 제격인 길
[봉정사]
일주문 너머 참나무 숲길, 만추에 참나무 갈색 낙엽과 노랗게 물든 은행잎, 늙은 감나무에 달린 빨간 홍시의 조화로움을 청자매병의 색감에 비유
[선암사]
이른 봄 무우전 매화 돌담

사계절 꽃이 아름다운 곳

 [대흥사]
10리숲길은 노목들의 나무터널로 사계절 제빛을 자랑하는 곳
[선운사]
뒷산인 도솔산 낙조대의 일몰은
둘째가라면 서러울 장면
4월말5월초에는 동백꽃을 보러 꼭 가야할 곳으로 추천
[내소사]
해방직후에 조림된 전나무 숲길
그 숲길이 끝나면 벚나무길이 천왕문 양쪽 기와담으로 인도
[개암사]
느티나무, 단풍나무가 자연스럽게 포치된 길
[수덕사]
덕숭산 산자락에 복스럽게 자라난 소나무, 떡갈나무 풍경
[개심사]
울창한 솔밭길(줄기가 붉은빛인 조선 소나무)
[무량사]
은행나무 5릿길
열두달 빛깔이 제각각 아름다운 만수산
2월은 수묵화의 깊은 맛
[봉암사]
* 년중 1회 석가탄실일에만 개방한다는 곳, 책에는 역사적인 내용이 대부분이라 검색을 해보니 백운대를 지나 당도하는 길이 아름답다고 나옴
[운문사]
진입로 1킬로미터 남짓한 길 양옆의 늠름하면서도 아리따운 조선소나무

여름날에 피어나는 자운영 꽃길
[관룡사]
화왕산 산자락 가파른 진입로는 조금 불편하지만 돌장승에서 산문, 산문에서 천왕문에 이르는 길은 이 곳만의 멋을 자랑
[연곡사]
곡성을 지나 지리산으로 가는 섬진강 길은 봄꽃을 즐기기에 그지없는 곳(산수유꽃, 벚꽃)
섬진강의 해질녘 노을
피아골 골짜기의 아름다운 계단식 논
[도갑사]
시간대별로 한 편의 풍경화의 모습을 월출산의 아름다움을 공유하는 곳
아침나절 산안개가 걷힐 때를 추천
[무위사]
비탈길을 논으로 만들어 경작하고 있는 농부들의 모습을 보며 조금조그만 마을들과 백운동 연못을 지나는 40여분의 산책길
[백련사]
소나무, 참나무, 진달래와 이름모를 풀포기들이 흐드러진 정다운 오솔길
남도의 원색을 극명하게 보여주는 만덕산의 봄
[정암사]
'살아 천 년 죽어 천년을 간다'는 주목 군락지
가장 아름다운 단풍을 본 곳
[묘향산 보현사]
진입로만 보자면 지리산 화엄사를 많이 닮았지만 열두 판 화판의 꽃숲속에 앉은 자태는 문경 봉암사 같다고 하겠는데 절의 크기는 고창 선운사처럼 크도 작도 않은 쾌적한 규모
[금강산 표훈사]
금강산 내력의 현장이며 금강산 사상의 핵심처이고 금강산 복부에 해당하는 곳

 지금까지 책의 순서대로 산사로 가는 길을 정리하고 보니 갈 곳이 너무나 많아 즐거운 비명이 절로 나온다. 다들 외국으로 외국으로들 떠난다지만, 우리나라 산사만 다 돌아보기에도 바쁠 것 같다. 원하는 계절에, 꽂히는 곳으로, 떠나면서 이 책으로 예습하고 간다면 그 곳의 정취를 몇 배 더 잘 느낄 수 있을 것이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번외로 유홍준 선생이 베스트로 뽑은 것들을 소개하고 마무리한다. 아래 곳들을 다 가보려면 1년 365일이 모자라겠다~~
[베스트 진입로]
오대산 월정사의 전나무숲길, 하동 쌍계의 10리 벚꽃길, 합천 해인사의 홍유동 계곡길, 장성 백양사의 굴참나무길, 영월 법흥사의 소나무숲길, 부안 내소사의 전나무길, 영주 부석사의 은행나무 비탈길, 조계산 송광사의 활엽수와 침엽수가 어우러진 길
[낮은 기와돌담길]
담양 소쇄원, 부안 내소사, 순천 선암사, 청도 운문사  돌담길
[천염기념물로 지정된 매화]
강릉 오죽헌의 율곡매, 장성 백양사의 고불매, 구례 화엄사의 백매, 순천 선암사의 무우전매
[유명한 동백꽃길]
보길도 윤고산 별장, 강진 백련사 입구, 고창 선운사 뒷산
[가장 사랑스런 절집]
부석사, 운문사, 개심사
[솔밭 장관]
운문사 솔밭, 서산 안면도 해송밭, 경주 남산 삼릉계의 송림, 풍기 소수서원의 진입로, 봉화군 춘양윽 춘양목, 백두산의 홍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