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개의 죽음 - 번식장에서 보호소까지, 버려진 개들에 관한 르포
하재영 지음 / 창비 / 201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창비 출판사의 <아무도 미워하지 않는 개의 죽음>을 읽었다. 어릴 때부터 동물을 가족처럼 키우는 사람을 이상한 눈빛으로 보던 나는 4년전 고양이 두 마리와 함께 살면서 친정가족들로부터 이상한 눈빛을 받게 되었다. 최근엔 "비글구조협회" 라는 카페에 가입해서 실험동물들과 유기견의 고통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프롤로그를 읽고 일단 책을 덮었다. 몇 해 전 ebs에서 본 프로그램의 영상이 떠오르면서 냄새까지도 같이 연상되는 것이다. 이 책이 르포라고 했는데 이 작가는?? 하며 작가 프로필을 보니 소설가였다. 아 그래서...

 

 1챕터 '어떤 시작'은 앞으로 어떤 이야기를 왜 하려는지에 대한 설명이고 나오게 될 인터뷰한 이들과의 첫만남, 첫 구조에 대한 이야기로 맛보기 정도인데 뒤로 갈수록 읽기가 힘겨워졌다. 어떻게 이 모든 사례를 취재하고 글로 다 써냈는지 놀랍고 얼마나 고통스러웠을까 싶었다.

 

"어쩌라고? 그것들은 동물이잖아." 타자의 고통은 언제나 추상적이다. 동물이 겪는 고통이라면 더더욱 그렇다. 그러나 우리가 타자의 고통에 대한 감수성을 발휘하든 하지 않든 그들이 고통을 느낀다는 사실은 달라지지 않는다."

 
2챕터 '새끼 빼는 기계들'은 번식장과 경매장의 실태에 대한 이야기다. 작가와 인터뷰한 이들을 보니 한결같이 타 존재에 대한 공감능력이 높은 사람들인 것 같다. 이 챕터에는 애견미용사, 번식업자, 유기견보호소 소장이 나오는데 자신의 할 일만 하면 되지만, 개들이 당하는 고통을 보며 못 본체할 수 없어서 결국 자신의 모든 것을 던진다. 우리나라 동물보호법이 얼마나 말도 안 되게 허술하고 모순된지 알게 되었다. 그 때문에 인간은 더더욱 개들을 돈벌이 수단으로 사용하고 개들은 고통을 당하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동물은 물건으로 취급받고 있다. 강아지들이 경매장에서 등급별로 경매 처리되고 높은 값을 받기 위해서는 일찍 어미와 떨어져야만 한다. 그런  강아지들이 펫숍 윈도우에 장식된다. 읽을수록 내가 인간이라는 것이 비참하게 느껴졌다. 내 눈에 보이지 않는 세상에서 이런 일들이 일어나고 있다는 사실에 몸서리 쳐지고 법을 바꿔야하는 국회는 뭐하나 싶어 분통이 터졌다.

 

 3챕터 '죄 없는 사형수와 무기수들'은 공설 보호소와 사설 보호소에 대한 이야기다.

 

"정부예요, 정부. 나라에서 제대로 된 동물 관련법을 만들지 않아서 생기는 일을 힘없는 개인이 독박쓰고 감당하는 거에요."

 

 "단지 애들을 사랑한다는 이유로.우리 모두 유기견을 살리고 싶어서 구하잖아. 그런데 기껏 살려서 감옥살이 시키면서 뭣하러 구하는 거야? 이것보다 더 고통스러운 게 어디 있어? 안락사 없고 평생 굶주릴 걱정 없으니까 그걸로 됐다고? 사람이면 자기가 평생 갇혀 살아야 하는데 죽임당하지 않고 밥 굶지 않으니까 괜찮다고 할거야? 왜 얘들한테는 밥만 먹고 살라고 해? 왜 그거면 충분하다고 해?"

 

 공설과 사설보호소 실태에 관한 것이지만 인간의 이기심에 관한 이야기다. 결국 인간이 원하는 품종을 만들기 위해 혼종을 한 후 근친교배를 수십세대에 거쳐 했고 그렇게 만들어진 개들을 '품종견'이라 부르며 비싼 값에 팔고 그 외의'믹스견'이라 불리는 개들은 키우다  버려지거나 잡아먹힌다.

 

 4챕터 '쓸모없어진 존재들의 하수처리장'은 개농장과 개시장 도살장에 관한 이야기다. 내가 모르고 있던 사실들을 정면으로 마주하게 될 때는 몹시 불편하다. 그 장소들의 적나라한 묘사는 읽는 내내 힘들었다. 그동안 쟁점이 되었던 개의 식용이 과연 문화적 차이에 대한 논쟁뿐인가, 개식용을 합법화하는 것만이 대안인가에 대한 근본적 질문을 던지는 내용이었다. 또한 우리가 마구 뒤섞어 사용하고 있 용어들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

 

"도덕이라는 것도 어쩌면 나를 중심으로 형성되는 건지도 모르겠습니다. 나와 가깝냐 안 가깝냐, 나와 함께할 수 있느냐 없느냐. 도덕이 뭐 대단한 양심에서 비롯되는 게 아니라 이토록 이기적인 '나'에서 출발하는 건지도 모르겠단 생각이 들어요."

 

 "사람은 무엇이든 먹을 수 있다. 모든 동물은 먹어도 된다. 사람만 안 먹으면 된다, 이런 생각도 있는 거에요. 하지만 그게 인간 말고는 다 잡아 죽이자는 말과 뭐가 다릅니까? 그게 다른 종을 대하는 우리의 도덕입니까? 인간은, 우리는, 그래도 되는 걸까요?"

 5챕터 '어떤 응답'은 작가 개인적 경험에 대한 이야기와 왜 개에 대한 이야기로 인간을 포함한 동물 전체에 대한 이야기를 하려 했는지에 대한 내용이다. 그리고 우리 사회의 시스템 자체가 생명을 얼마나 싸구려 물건처럼 취급해왔는지에 대한 성찰이다.

 

 "한 사회 안에서 인간을 존중하는 태도와 동물을 존중하는 태도는 결코 동떨어져 있지 않다. 모든 존재가 목적이라는 인식과 모든 생명이 존중받아야 한다는 인식이 사회의 주류가 될 때, 우리는 비로소 목적으로서의 인간으로 대우받을 것이다. 동물이 대접받는 나라는 사람을 함부로 대하지 않는다."

 

 "우리의 시스템 안에서 동물들이 어떤 일을 겪는지 이야기하는 일, 그들에게 무엇을 하고 무엇을 하지 말아야 할지 질문하는 일이 오로지 우리의 의지에 달려 있는 것이다. 우리가 그런 의지를 발휘해야 하는 이유는 우리의 삶이 동물의 고통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이다."

 작가는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가? 무엇을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응답하는 데에는 아무 자격도 필요치 않다며, 미코라는 개가 자신에게 특별하고 유일한 존재가 되었기에 자격없어도 이 책으로 답하고 싶다고 했다. 작가의 이 책이, 나 개인이 하는 작은 행동이 거대한 시스템에 작은 변화의 물꼬를 트는데 시작이 되길 바라며 나는 무엇을 할지 비장한 각오를 하다가... 박준시인의 추천의 글을 읽으며 그만 엉엉 울고 말았다.  옆집 사람들의 보신탕이 되고 말았을 그 비글, 누피의 눈빛이 떠올랐기 때문이다. 비글을 키우진 않고 있지만 약 4개월간 비글구조네트워크 카페를 들락거리며 만난 비글들의 그 촉촉한 눈망울이 생각났다. 생각해보니 이번 달 애들 사료값 모금에 동참하지 않았네... 얼른 송금해야겠다. 그리고 동물들의 고통을 볼모로 영위하고 있는 내 생활을 돌아보며 자격없는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뭐가 있을지 생각해봐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