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날씨의 음악 - 날마다 춤추는 한반도 날씨 이야기
이우진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7월
평점 :
우리가 사는 이 땅은 세 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반도다. 게다가 산도 많고 그만큼 강도 많은데, 섬도 많아서 날씨를 예측하기 무척 힘들다. 기상청에서 예측한 바와 실제 날씨가 달라서 사람들이 불평할 때마다 듣는 내용이다. 어린 시절에는 별생각 없이 지내다가, 고등학교 2학년 사회탐구 선택과목으로 지리를 선택하면서 지리와 기후에 대한 내용을 배웠다. 그 이후부터는 날씨에 대한 이해도가 생겼다. 이 책은 한국 지리 수업 시간에 배웠던 내용을 다시 한번 쉽게 읽는 기분이었다. 날씨 이야기만 하는 것은 아니다. 날씨에 따라 생기는 무지개 같은 현상에 관해 이야기하기도 하고, 날씨를 음악과 리듬에 비유하기도 한다. 잔잔하게 읽을 수 있어 좋았지만 조금 아쉬웠던 점은, 이 책이 에세이이긴 하지만 시각적인 자료가 그리 많지 않다는 점이었다. 지리와 대기, 날씨는 어쨌든 과학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글로만 설명한다면 독자가 이해하기에 약간의 어려움이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특히 이 책이 청소년 독자를 타겟으로 하였다면 더더욱 시각적인 자료가 더 필요하지 않을까? 과학적 현상을 설명하다가 음악적/문학적 비유가 나오니 약간 정신이 없었다.
읽으면서 우리는 날씨도 우리에게 맞추어 생각하고 표현하고 있다는 것도 알게 되었는데, 특히 산 정상에서의 날씨에 대한 이야기를 읽고 느꼈다. 설악산 대청봉에 올라가기 직전까지는 바람이 그리 세지 않은데, 대청봉에 오르고 나면 바람이 무섭도록 분다. 시원하긴 하지만 약 1,700m 높이의 산 정상에서 아래를 내려다보며 맞는 바람은 약간 아찔하다. 우리는 그곳에서 그저 매서운 바람을 맞은 것이 아니라, 대기의 본모습을 마주한 점이라는 걸 알고 나자 새삼스럽게도 어릴 적 올랐던 설악산에 다시금 가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사계절로 장을 나누어 각 계절의 날씨에 대해 쉽게 풀어주고 있으므로 날씨에 대한 상식을 가볍게 쌓고자 하는 사람에게 필요할 듯한 책이다.
* 해당 서평은 한겨레출판 서평단 하니포터6기로 선정되어, 책을 제공받아 읽은 후 작성하였습니다.
정상에 다가서면 춥고 바람이 강한 이유가 뭘까? 이 질문이 틀린 것은 아니지만 좀 더 적절한 질문은 동전의 다른 면에서 찾아볼 수 있다. 즉 평지로 다가설수록 기온이 따뜻해지고 바람이 약해지는 이유를 물어야 하는 것이다. 온도가 낮고 바람이 세찬 것이 대기의 본모습이고, 평지에서 느끼는 대기는 땅의 영향으로 변형된 것이다. 우리는 산에서 대기의 순전한 본래 모습을 재확인하는 것뿐이다. - P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