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터로 간 소크라테스 - 철학자의 삶에서 배우는 유쾌한 철학 이야기
김헌 지음 / 북루덴스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학자는 질문하는 사람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OO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서 출발하는 것이죠.

왜 존재하는지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그 후의 문제입니다.

본질을 파악하지 않으면 이유와 기능만으로 알 수가 없다는 뜻으로 여겨집니다.

오늘은 어렵지 않게 철학을 말하는 책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전쟁터로 간 소크라테스]는 인문학자인 김헌 교수가 쓴 철학 교양서입니다.

철학을 다루고 있지만 교양서다 보니 한결 가벼운 마음으로 시작할 수 있는 책이기도 합니다.

철학은 지혜를 사랑하는 것에서부터 비롯된다고 책은 시작합니다.

책의 서문에서 저자는 인문학의 인문은 '사람이 새겨 넣은 무늬'라고 말합니다.

글자를 뜻하는 문(文)은 그림 무늬로부터 생겨났으니 그 뜻이 통합니다.


사람의 행동 하나하나가 모두 인문이니,

삶의 터 위에 함께 사는 사람들이 어떤 '인간의 무늬',

즉 인문(人文)을 남기느냐가 한 나라, 한 민족의

문화(文化)와 문명(文明)의 실체와 수준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전쟁터로 간 소크라테스> 中에서



지금 제가 그리는 삶의 무늬는 어떤 모양으로 새겨져 있을까요?

만약 굴곡져있다면 지금부터는 명확한 선으로 그려나가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렇다면 철학은 무엇일까요?

철학은 앞서 말한 것처럼 지혜를 사랑하는 것입니다.

고대 그리스에서는 '지혜'를 어렵고 심오한 뜻으로 사용하지 않았다고 합니다.

사람에게 좀 더 이롭게 쓰일 수 있는 것, 쓸모가 있고 도움이 되는 것이 지혜인 셈이죠.

그래서 지금처럼 철학의 이론에 파고들어 해석하는 것에 집착하는 것은

소크라테스의 표현을 빌자면 필로소마토스(phillosomatos)가 될 뿐입니다.

철학은 우리 일상에 만나는 모든 것들을 무심히 지나치지 않고 질문하고 답을 찾으려는 것

그것이 고대 철학자들이 말하는 '철학'이라고 책은 말합니다.



책은 총 3부로 이뤄져 있습니다.

1부에서는 피타고라스, 탈레스, 데모크리토스 등 고대 철학자들의 이야기를 다루며

2부에서는 궤변론자라 불리며 말하는 기술을 파는 일명 지식장사꾼 '소피스트'에 대한 비판을

다른 시각으로 조명하는 시간을 가져봅니다.

과연 '소피스트'는 지식을 파는 사람에 불과했는지 아니면 아테네 철학의 전성기를 이끌어낸

선구자들이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겠지요.

3부에서는 비로소 소크라테스가 등장하며 그의 주변인물들과 함께 소크라테스의 일생을 돌아봅니다.

여기서 소크라테스는 잘 죽기 위해 살아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죽음을 준비해 온 사람이란 걸 알 수 있었습니다.

죽음은 무겁고 거추장스러운 육신에서 벗어난 영혼의 해방이라고도 말하지요.

소크라테스에게 죽음을 내린 판결은 벌이 아니라 자유를 주었다는 생각이 들 정도입니다.

그런 소크라테스가 왜 전쟁터로 갔을까요?

그에 대한 답은 책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무지한 것은 죄가 아니나 무지하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하는 것은 죄라고 말한 소크라테스.

그의 철학적 사유는 파도파도 끝이 없는 듯합니다.

질문하지 않으면 답은 찾지 못합니다.

오늘 'OO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의 'OO'에 집어넣고 싶은 단어가 있나요?

저는 '시간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져보고 싶습니다.

새해도 어느새 12분의 1이 지나가버렸으니까요.

오늘의 철학은 이만 마무리하겠습니다.

철학자의 삶에서 배우는 유쾌한 철학 이야기 [전쟁터로 간 소크라테스]를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