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의 마지막 공중전화
피터 애커먼 지음, 맥스 달튼 그림, 김선희 옮김 / 더블북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동전 2개면 그리운 사람의 목소리와 이어지는 시절이 있었습니다.

선불전화카드가 생기고 나서는 더 이상 한 손 가득히 동전을 들고 다닐 필요가 없어졌지요.

무선호출기 일명 삐삐를 손에 들고 기다랗게 줄을 서서 순서를 기다리던 공중전화박스.

이제는 추억 속의 아련한 기억이 되었지만 가끔 오래된 골목길에서 만나면 반가운 공중전화.

오늘은 그 추억을 끄집어내 봅니다.


[뉴욕의 마지막 공중전화]는 그림책입니다.

그림책 속에 공중전화가 등장하죠.

누군가에게는 업무에 도움이 되고 누군가에게는 좋은 소식을 알려주기도 하고

누군가에게는 간절한 마음을 전하는 공중전화입니다.




모두에게 사랑받던 공중전화는 어느 날 라이벌이 생겼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바로 휴대전화죠.

이제 공중전화는 더 이상 쓸모가 없어졌습니다.

외면당하고 버려져서 낡고 더러워지고 말았죠.



그러던 어느 날, 공중전화에게 놀라운 기적이 일어납니다!

어떤 기적이냐고요?

그림책을 통해서 확인해 보시길요~



오래전 책상서랍을 뒤적이다가 낡은 지갑을 발견했어요.

안을 살펴보니 오래된 신용카드, 다 해진 명함, 프랜차이즈점 쿠폰, 앳된 시절 얼굴을 담은 증명사진

그리고 사은품으로 받은 공중전화카드가 있었어요.

아직도 잔액이 남은 공중전화카드, 지금도 쓸 수 있을까요?

오래되고 낡았지만 그래도 우리 곁에 남아 있는 이유는 바로 '추억' 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아이와 함께 그림책 [뉴욕의 마지막 공중전화]를 읽으면서 저도 모르게 라떼를 마십니다.

'너, 공중전화 알아? 거기에 10원짜리 동전 2개를 넣고 전화를 거는 거야.

엄마 때는 전화카드라는 것도 있었어. 삐삐가 오면 공중전화 찾아서 삼만리였지.

그때는 왜 꼭 필요할 때 눈에 띄지 않았을까? 기껏 찾고 보면 줄이 엄청나게 길었거든'



예전에는 길을 가다가 잔액이 남은 공중전화를 발견하면 곧장 들어가 떠오르는 번호를 꾹꾹 눌러

수화기 너머 들리는 상대의 반가운 목소리를 듣던 즐거움이 있었지요.

하지만 요즘 아이들은 전화로 통화하는 것보다는 문자나 메신저, SNS를 통해 소통을 합니다.

그래서 전화는 본연의 역할이 조금 줄어든 것 같습니다.

이제 우리 시대에 마지막 공중전화와 같은 존재로 무엇이 있을까요?

아직은 모두의 곁에 남아있고 싶어 하는 [뉴욕의 마지막 공중전화]를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