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은 이것도 디자인입니다 - 일상 속 숨겨진 디자인의 비밀, 제10회 브런치북 대상 수상작
김성연(우디) 지음 / 한빛미디어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디자이너가 되고 싶은 것은 아니지만 디자인은 배워보고 싶었어요.

디자이너 Designer, 라고 하면 뭔가 창의적이고 상상력이 뛰어난 사람처럼 여겨졌거든요.

그래서 포토샵이랑 일러스트레이션을 배워보았지요.

뭔가 핀트에 어긋났지만 그래도 웹디자인이나 일러스트레이터가 되어보면 어떨까, 했으니까요.

하지만 생각보다 저는 재능이 없었습니다. (웃음)

오늘은 디자인인데 디자인처럼 보이지 않는 디자인에 대해 알려주는 책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사실 이것도 디자인입니다]는 현직 디자이너가 쓴 디자인 이야기를 모은 책입니다.

가장 흥미를 이끌었던 것은 흔히 우리 주변에서 접할 수 있는 익숙한 채널과 앱, 제품을 토대로

디자인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간다는 점이었습니다.

몇 시간 씩 넷플릭스에 빠져들 수 밖에 없는 사연이며 쿠팡과 마켓컬리의 서로 다른 지향점,

그 밖에 다양한 앱을 통해 사람들은 인식하지 못한 디자인의 세계로 안내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자인에 대해 가진 저의 개념이 생각보다 좁고 한정적이라는 것을 이 책을 통해 깨달았어요.

말하지만 디자인은 기껏해야 상품의 외관을 꾸며주는 도구라고 여겼거든요.

하지만 저자는 우리 눈에 보이는 그 너머까지가 디자인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린 UX'는 린 스타트업에서 가져온 개념으로 시장에서 가설을 빠르게 검증하기 위한 방법론입니다.

먼저 제품을 시장에 내놓기 전까지 최소한의 기능을 가진 제품으로 반복 학습하며

실체화 해나가는 것을 뜻하는데 이 부분을 읽으면서 새삼 깨달은 것이 있다면

꼭 이뤄나가야 할 목표가 있다면 모든 준비를 다 마친 다음에 시작할 것이 아니라

아주 작은 것이라도 먼저 실행하면서 성공과 실패를 반복하다 보면 차츰 목표에 가까워지는 것이

중요한 것이라는 점이었습니다.

이른바 실패를 쌓아야 성공에 이른다는 말이죠.

좀 더 쉽고 간단한 이해를 돕기 위해 저자의 말을 빌려보겠습니다.


사격을 예로 들면 아주 오래 조준한 뒤 목표물을 쏘는 것이 아니라,

일단 빠르게 한 발 쏜 뒤 영점을 조정해 가능성을 높여

다음 사격을 계속 이어나가는 방식이다.

<워터폴의 쇠퇴와 린 UX의 등장> 中에서


이 밖에도 책은 다크 넛지와 화이트 넛지를 통해 디자인의 윤리적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장식이 아닌 서비스 관점에서의 디자인 구축 노하우에 대해 안내하며

디자인 사고방식을 통해 슬기로운 소통망을 이룩하는 방법에 대해 탐색하고 있습니다.

특히 디자인 사고방식을 다룬 장에서는 '방어기제'라는 심리적 작용에 대한 설명을 곁들여져서

다양한 방면에서 디자인이라는 분야가 활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책을 읽는 동안 관점의 극적인 변화를 바랐지만 단번에 바뀌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어떤 사물이나 화면, 상황을 보게 된다면 '이것은 어떤 의미의 디자인일까?'하는 의문을 갖고

계속 궁리해보는 습관을 가져야겠다는 다짐은 하게 되었어요.

우리 일상에서 알게 모르게 디자인은 많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다는 점도 깨달았습니다.

이제는 무심코 지나가던 디자인도 한번쯤 유심히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는 점도요.

앱과 프로덕트, 브랜드 속에 숨겨진 디자인을 파헤친 [사실 이것도 디자인입니다]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