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리 설계자 - 장르불문 존재감을 발휘하는 단단한 스토리 코어 설계법
리사 크론 지음, 홍한결 옮김 / 부키 / 202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을 쓰겠다고 생각해본 적은 없지만 어느새 글을 쓰고 있는 저를 발견합니다.

마음 속에 끓어오르는 생각을 기록하고 싶다는 간절함이 글로 발현된 것 같았지요.

하지만 그런 글은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거나 감동을 주는 글은 아닙니다.

일기에 불과할 뿐이죠.

그런데 글을 계속 쓰다 보니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고 감동을 주고 싶다는 욕심이 생겼습니다.

오늘은 나의 글이 일기가 아닌 스토리가 되게 만들어주는 책에 대해 소개해볼까 합니다.


[스토리 설계자]는 글쓰기에 관한 책입니다.

'또 작법서야?'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대부분이겠지만 이 책은 일반적인 작법서와는 좀 다릅니다.

저자는 '글쓰기'하면 떠오르는 여러 원리들을 '허구'라고 콕 집어 지적합니다.

흔히들 얘기하는 일단 써보라는 식의 무조건 쓰기, 소설의 사건들을 늘어놓기만 하는 플롯 짜기,

아름답고 유려한기만 한 문장을 늘어놓는 명문(名文)까지 모두 허구라는 것이죠.


스토리의 구조란 잘 풀어낸 스토리에서 나온다.

밖에서부터 안으로 만들어 들어갈 수 있는 게 아니다.

외적인 스토리 구조 모형을 바탕으로 소설을 써 보려다가 크게 낙심하는 작가들이 많다.

주어진 지시를 성실히 따른 결과가, 소설의 겉모양은 올바른 구조와 착착 맞아떨어진다.

그럼에도 그 스토리 구조 모형의 원천인 소설, 영화, 신화와 비교하면 흥미가 턱없이

떨어지는 결과물이 된다.

<2장 허구의 타파:글쓰기에 관한 착각> 中에서


저는 여태까지 매일 정해진 시간대에 책상 앞에 엉덩이 붙이고 앉아 무조건 쓰기만 하면

멋진 글 한편이 완성될 거라 믿었습니다.

흥미로운 사건들로 플롯을 짜고 감동을 주는 문장을 쓰기 위해 고전책도 읽으며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다 허구라니!

이 책의 도입부에서부터 저는 숨통이 트이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1부에서는 이제까지 우리가 알고 있던 글쓰기에 대한

착각을 말끔히 바로 잡아주고 2부에서는 이야기 설계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3부에서는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장면 카드를 도입하여 글을 써나가게 만들어줍니다.

특히 장면 카드는 본격적인 글쓰기에 활용도가 매우 높은 도구가 될 것 같습니다.




최근 저는 문예창작 수업을 받으면서 늘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商量)하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스토리 설계자]를 읽어보니 중요한 것은 '캐릭터의 내적 변화'였습니다.

캐릭터의 욕망이 없다면 제아무리 기발한 사건과 화려한 문장이 난무하더라도

스토리가 지루해지고 마는 것이라고요.

특히 글쓰기의 고전 중 하나인 '만약에'라는 제시문을 그저 상상력 풍부한 문장 쓰기에 치우치지 않고

주인공의 내적 갈등에 적용한다면 흥미진진한 스토리를 만들 수 있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막연히 감동을 주는 글을 쓰겠다고 생각할 때는 막막한 마음에 이런저런 작법서를 읽었습니다.

하지만 글 잘 쓰는 분들이 꼭 글 잘 쓰는 방법을 효율적으로 가르치지는 않는다는 걸 깨달았죠.

[스토리 설계자]도 그런 책이 아닐까 하며 한번 더 속아보자는 마음으로 읽기 시작했는데

도입부를 읽자마자 이 책은 끝까지 읽을 수밖에 없었습니다.

너무 매력적이었거든요.

앞으로 글 쓸 때 곁에 [스토리 설계자]를 준비해 놓고 스토리 진행에 참고해볼 계획입니다.

글쓰기를 시작했다면 먼저 한번 읽어보시길 추천합니다.

단단한 스토리 코어 설계법을 알려주는 [스토리 설계자]를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