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漢)의 몰락, 그 이후 숨기고 싶은 어리석은 시간 - 권력자와 지식인의 관계 100페이지 톡톡 인문학
최봉수 지음 / 가디언 / 2023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역사서를 읽을 때면 불현듯 머리를 스치는 문구입니다.

직역하면 '열흘 붉은 꽃 없다'는 뜻이고

의역하면 '한번 흥한 것은 반드시 쇠하기 마련'이라는 뜻이죠.

영원한 권력을 누릴 것 같은 독재자도 언젠가는 명이 다하고

천 년의 왕국도 어느새 멸망해버립니다.

현재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는 주어진 시간을 얼마나 소중히 보내고 있나요?

오늘은 몰락한 중국의 한(漢)에 숨겨진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한의 몰락, 그 이후 숨기고 싶은 어리석은 시간]은 '100페이지 톡톡 인문학' 시리즈의 두 번째 책입니다.

중국의 한나라는 전한과 후한을 합쳐 500년이라는 시간을 잇는 중국 역사상 최장수 제국으로

춘추전국시대 제자백가로 학문의 중흥기를 이루며 그 문명을 동아시아로 전파하였습니다.

그러나 긴 제목에서도 짐작하듯 한 또한 앞서 소개한 로마와 비슷한 몰락의 길을 걸었습니다.

어디에서 한이 멸망했는지 콕 짚어 이야기할 수가 없죠.

한의 멸망 끝에는 조조의 위魏, 유비의 촉蜀, 손권의 오吳, 삼국이 존재하고 있습니다.

역사 기록에는 조조의 아들 조비가 한의 마지막 황제 헌제로부터 선양을 받아 제위를 빼앗음으로써

후한이 멸망한 것으로 되어 있지요.

로마와 마찬가지로 국가 간의 무력 다툼이나 치열한 내분이 아닌 어찌 보면 허망한 결말이라서

한이라는 나라가 이렇게 흐지부지 사라질 수 있는 건가? 싶습니다.

하지만 멸망에 이르기까지는 여러 인물과 사건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그로 인해 한이 멸망하게 된다는 걸 이 책을 통해 확인하게 됩니다.

대한제국이 일본과 을사늑약을 체결할 때 떠올리게 되는 을사오적과 마찬가지로

책은 한을 멸망으로 이끈 네 명의 역적 '망탁조의 莽卓操懿'의 이야기로 시작합니다.

바로 왕망, 동탁, 조조, 사마의가 그들이죠.

또한 한의 몰락 이후 수隋나라의 문제가 중국을 통일하기까지 400여년의 어리석은 시간을

지배한 권력자들과 지식인에 대해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들은 바로 공융과 하안 그리고 죽림칠현이죠.

마지막 죽림칠현을 어리석다고 꼽기에는 꽤 예외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만,

그럴만한 이유가 있더군요.

그 이유는 책에서 확인해보길 바랍니다.



저자의 재치 있는 문장과 깊이 있는 내용이 어우러져 이 한 권 만으로도

후한말과 위진남북조 시대의 어지러운 정세가 어느 정도 이해가 되었습니다.

역시 동서고금에 있어 권력의 무상함과 지식인들의 속물근성은 변함이 없네요.

이래서 고전은 영원한가 봅니다.

소설 <삼국지>를 읽어볼 계획이 있다면 먼저 이 책으로 살짝 맛봐도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어리석은 시간을 살아가던 지식인들이 드러내는 위선의 얼굴을 엿볼 수 있는

[한의 몰락, 그 이후 숨기고 싶은 어리석은 시간]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