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일리치의 죽음 (러시아어 원전 번역본) - 죽음 관련 톨스토이 명단편 3편 모음집 현대지성 클래식 49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윤우섭 옮김 / 현대지성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누구나 죽음을 두려워하지만 죽음이 늘 가까이에 있다는 생각은 하지 않습니다.

정말로 간발의 차이로 죽음의 신이 휘두른 사신의 낫을 피할 수도 있고

어처구니 없는 상황에서도 허무하게 죽음을 맞이할 수 있다는 사실을요.

유한한 삶이기에 인간은 무한을 꿈꾸며 죽음이 있으므로 삶이 더욱 값지게 느껴집니다.

만약 사신으로부터 죽음을 미리 경고 받는다면 어떻게 행동하게 될까요?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레프 톨스토이의 단편 소설 중 하나입니다.

톨스토이는 삶 전반에 걸쳐 가까운 혈육의 죽음을 겪어왔기에 '죽음'이라는 화두를

평생 붙들고 살았다 해도 과언이 아닐 것입니다.

그 자신조차도 자살의 유혹에 시달려 총과 밧줄을 숨기며 살았으니까요.

그의 많은 작품들에서 '죽음'이라는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는 것 또한 그런 이유일 것입니다.

그럼에도 톨스토이는 죽음을 피하지 않고 오히려 문학으로 표현했습니다.

죽음이 그를 위협할 때마다 숨지 않고 펜으로 맞서왔다는 느낌이 들 정도지요.




현대지성에서 출간한 클래식 시리즈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총 3편의 단편이 담겨 있습니다.

모두 죽음에 관한 의미를 되새길 수 있는 작품들입니다.

표제의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아주 평범한 사람의 평범한 죽음입니다.

이반 일리치의 삶은 말 그대로 평온했으며 병이 들기 전까지는 무난한 삶이었습니다.

옆구리에서 시작한 통증이 그의 온몸을 집어삼키고 밝혀내지 못한 원인이 그를 죽음으로

이끌 때까지 그는 삶의 끈을 쉽사리 놓지 않았지요.

하지만 마침내 죽음이 임박하자 그는 깨닫습니다.

지금까지 자신만을 위해 살아왔던 생을 내려놓고 모두를 고통으로부터 자유롭게 놓아주는 것이

마지막으로 자신의 삶을 바로잡는 길이라는 것을요.

이반 일리치는 죽음 끝에 빛을 만났고 비로소 생의 마지막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었습니다.

어쩌면 사람들은 이반 일리치처럼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놓치고 살고 있다는 불안을

종종 떠올릴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그것은 죽음에 이르러서야 깨달을 수도 있고 죽을 때까지 모를 수도 있습니다.

그런 점에서 이반 일리치의 죽음은 그 자신에게는 구원이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다 끝났습니다" 그의 위에서 누군가가 말했다.

그는 그 말을 듣고 마음속에서 되풀이해 보았다.

'죽음은 끝났다' 그는 속으로 말했다.

'죽음은 더 이상 없어'

<이반 일리치의 죽음> 中에서


함께 수록된 [주인과 일꾼], [세 죽음]에서도 톨스토이는 죽음에 대한 고찰을 이어나가며

기독교적 세계관에 비추어 분석하고 자신의 종교 사상을 구체화시켜 나갑니다.

아무래도 저는 종교적인 면에서 톨스토이의 작품을 더 깊이 생각하며 읽게 됩니다.

그래서인지 짦은 단편임에도 불구하고 많은 상념들이 오가며 고민하기도 하고

오래도록 곱씹으며 읽었습니다.

죽음의 끝에 무엇이 기다리고 있을 것인지, 과연 죽음이 끝이기는 한지, 죽음 뒤에 남길 것은 무엇인지.

톨스토이가 던진 질문에 답을 찾아봅니다.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읽으며 떠오르는 의문 하나! 

그래서 이반 일리치는 무슨 병으로 죽은 걸까요?

이것은 어쩌면 저의 무의식적 습성에서 비롯된 것일지도 모릅니다.

한번 의문을 품으면 답을 알아내지 않고 못 배기는 습성이지요.

모든 죽음을 받아들일 때 그 죽음에 타당한 이유가 있어야 한다는 걸 저는 원하는가 봅니다.

아마 저의 죽음 또한 명확한 원인과 이유를 알아야 제가 마음 편히 죽을 것 같습니다.

저는 사신으로부터 죽음을 예고 받는다면 읽고 있던 책들의 결말부터 읽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궁금한 건 정말 못 참으니까요.(웃음)

'나다운 삶'을 살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필독서 [이반 일리치의 죽음]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