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바꾸는 질문의 기술 - 말할 때마다 내가 더 똑똑해진다
엘커 비스 지음, 유동익.강재형 옮김 / 동양북스(동양문고)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 질문 있는 사람?"이라는 한마디에 교실은 적막이 흐르기 시작합니다.

서로 눈치를 보면서 어색한 침묵만 지킬 뿐이죠.

선생님은 짧은 한숨을 내쉬며 다음 진도로 넘어갑니다.

왜 질문하는 것은 정답을 맞히는 것 만큼이나 어려운 일일까요?


[삶을 바꾸는 질문의 기술]은 제목처럼 질문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일단 이 책의 원서 제목인 독특합니다.

네덜란드어로 된 'Socrates op Sneakers'는 번역하면 '운동화를 신은 소크라테스'입니다.

실제로 이 책 속에 소크라테스가 등장하기도 합니다. 베트맨 망토를 걸치고 운동화를 신고서요.

그렇지만 소크라테스가 뭔가를 알려주지는 않습니다.

소크라테스 문답식 대화를 통해 진정한 소통을 할 수 있다는 걸 저자는 알려주고 싶었으니까요.

저자인 엘커 비스는 다양한 사람들과의 좀 더 깊이 있는 대화를 나누기 위해

'질문하는 법'을 오랫동안 공부했고 이 책은 그 공부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질문하는 것이 어렵게 느껴질까요?

저자는 제대로 된 질문법을 배우지 않아서 라고 말합니다.

질문법이라니 그냥 궁금한 걸 물어보면 되는 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생각보다 질문을 만들어내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저 같은 경우 대화 중 타인의 말을 경청하기 보다 제 생각에 빠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때 정말 질문은 하나도 하지 않는 대화를 하고 있다는 걸 느낍니다.

바로 '아는 것이 없으니 묻고 싶은 것도 없는' 상태가 되어버리는 것이죠.

상대방의 말에 조금이라도 귀를 기울이면 반드시 궁금증이 생기게 마련이니까요.

이에 대해 저자는 인간은 '자기중심적'이기 때문에 질문을 할 수 없다고 합니다.

상대방의 이야기에는 아랑곳 하지 않고 내 이야기만 하다가 대화를 끝내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람들은 대부분 질문을 했다고 생각하지만 문장 끝에 물음표가 붙었다고 해서

모두가 질문이라고는 할 수 없다고 저자는 말합니다.


질문을 견디고, 도전을 참고, 깊이 생각하며 심사숙고하고,

때로는 자신의 말과 생각을 검토해야 할 때 우리는 불안을 느낀다.

차라리 피하고 싶어한다.

우리는 대부분 자신의 견해와 신념에서 정체성을 얻기 때문이다.

<1장 좋은 질문을 던지지 못하는 이유> 中에서


어떤 질문은 사람을 불편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순수한 호기심이 아닌 악의로 찬 호기심 혹은 상대를 떠보는 노골적인 질문이 그러합니다.

이런 질문들이 끌어낼 수 있는 것은 그냥 불쾌한 대답 뿐이지 않을까요?

때론 질문을 두려워하거나 귀찮아할 때도 있습니다.

질문을 하는 바람에 내가 바보가 되는 것은 아닌지,

별 것도 아닌 질문으로 시간만 낭비한다는 생각을 할 때도 있죠.

그렇다면 우리는 왜 질문을 해야 할까요?

저자는 새로운 통찰력과 지혜를 얻는 가장 최고의 방법은 '질문'이라고 말합니다.

질문 없이 그저 판단에 치우쳐 산다면 세상은 편협과 무관심으로 가득할 테니까요.


문제는 판단 그 자체라기보다는 정확한 판단을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부족한 정보로 너무 빨리, 너무 단순하게 판단하기 때문이다.

또 우리는 한번 내린 판단에 너무 집착하는 경향이 있다. (중략)

한번 판단이 형성되면 좁아진 시야로 자꾸 확인하려고 하고

그 반대 증거는 모두 무시하려고 한다.

<2장 소크라테스처럼 질문하는 법> 中에서


책은 좋은 질문을 하지 못하는 이유(1장)에서부터 소크라테스처럼 질문하는 법(2장)과

좋은 질문의 조건과 기술(3~4장), 질문이 좋은 대화로 이어가도록 하는 법(5장)까지

총 다섯 장에 걸쳐 질문에 대해 다루고 있습니다.

제대로 질문하는 법을 꼭 배우고 싶었는데 이 책의 도움을 꽤 받았습니다.

누군가의 마음을 상하지 않게 하면서 질문하는 건 상당히 어려운 능력이거든요.

특히 4장에 등장하는 '아래에서 위로 가는 질문' 기술은 연습을 열심히 해봐야겠습니다.

이 기술에 대한 설명은 책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책 곳곳에 수록된 실전연습 박스를 통해 질문의 기술을 익힐 수도 있습니다.




질문을 잘 하는 법은 바로 '경청' 있었습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선생님의 수업을 잘 들었다면 분명 궁금한 점이 생겼을 테지요.

누군가의 이야기를 잘 들었다면 그가 그 이야기를 한 이유가 궁금해졌을 테고요.  

소크라테스가 정말로 '너 자신을 알라'는 명언을 남겼을까요, 아닐까요?

이런 호기심을 가졌다면 당신은 아마 좋은 질문자가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질문으로 더 똑똑해지는 방법을 알려주는 [삶을 바꾸는 질문의 기술]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