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자의 나라 조선 - 그 많던 조선의 모자는 왜 그렇게 빨리 사라졌을까?
이승우 지음 / 주류성 / 202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부터 사극을 보며 자랐기에 별로 신경을 써본 적이 없었던 것 같습니다.

한복에 자연스레 어울리는 그 수많은 모자들에 대해서 말이죠.

도포를 입고 한껏 풍채를 떨치는 선비 머리에 갓이 빠진다면 팥소 없는 찐빵이요

철릭을 입고 자못 위엄을 내세우는 무관의 머리에 전립이 빠진다면 김빠진 콜라인 셈이죠.

그런데 의외의 곳에서 조선 시대의 모자가 조명을 받았습니다.

바로 한국 드라마를 본 외국인들이 조선인이 쓴 모자의 다양성에 대단히 놀라워했다는 것이죠.

그제서야 저도 조선의 모자에 대해 좀 더 달리 보게 되었습니다.


[모자의 나라 조선]을 읽게 된 이유는 오직 하나, 조선시대의 모자에 대한 궁금증이었습니다.

그저 갓이나 탕건, 사모관대, 삿갓, 패랭이 정도로만 알았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이토록 다채로운 모자의 세계가 있다는 것은 처음 알았습니다.




저자는 25년 간의 직장 생활을 정리한 후 우리나라의 역사에 대한 다양한 호기심을 가지고

공부하던 중 조선의 모자에 빠져들어 자료를 찾고 모아서 이 한 권의 책으로 만들었다고 합니다.

복식 전문가는 아니지만 모자의 역사를 공부하는 동안 선조들의 삶을 따라가며 알아낸

그 모든 것을 기록으로 남기고 싶은 바람이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전문서적이라기 보다 모자에 관한 에세이처럼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었습니다.



왜 조선은 이렇게나 다양한 모자를 쓰게 되었을까요?

저자는 몇 가지 원인으로 추적해보았다고 합니다.

일단 조선 성리학의 윤리관에 영향을 받았으며 머리를 중요시하는 특유의 존두尊頭사상과

한반도에 계승된 오래된 역사를 가진 왕조 문화, 그리고 엄격한 유교 사회의 신분 체제 등

이로 인해 모자가 진화해온 결과라고 짐작하고 있습니다.

단순하게 생각해봐도 드라마 속에서 갓을 쓰면 양반이고 패랭이를 쓰면 상인이나 평민,

전립을 쓰고 있으면 무관이라고 우리는 알지 못하는 사이에 구분할 수 있었던 것 같네요.

책은 남성용 모자만이 아니라 여성과 아동들의 모자까지 물론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저는 '아얌'이라는 모자의 디자인이 참 마음에 들었고 명칭도 예쁘게 느껴졌어요.


'아양을 떨다'라는 말은 귀염을 받으려고

일부러 애교 있는 말이나 행동을 하는 것을 말하는데,

아양은 원래 아얌이 변한 말이다.

이 말은 아얌을 쓴 여인이 걸을 때마다

아얌의 앞, 뒤 술이 찰랑거리며 떨리는 것을

여인의 애교에 빗대어 표현한 것이다.

<제5장 조선에는 어떤 모자가 있을까?> 中에서


그렇다면 그렇게 많았던 그 모자들은 현재 어디로 사라졌을까요?

신분의 상징이며 예법의 표상이었던 모자들을 우리는 이제 드라마에서나 볼 수 있습니다.

그 까닭을 짐작하는 이도 있을 테고 궁금한 이들도 있을 테지만 답은 책을 통해 찾아보길 권합니다.

다만 조선은 '신체발부 수지부모身體髮膚 受之父母'라 하여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고

상투를 틀어 모자를 쓰고 다녔다는 점이 후손으로서 다행스럽게 생각됩니다.

중국 청나라 시절의 변발이나 일본 사무라이식 촌마게 형태와 같은 머리 모양이라면 어땠을까요?

그랬더라면 이렇게 다양한 모자는 만날 수 없었을지도 모릅니다.

책에 담긴 조선의 모자와 쓰개에 대한 깊이 있는 해석과 수록된 사진 자료를 통해

우리는 조선 시대의 멋과 문화를 좀 더 깊이 알게 된 것 같습니다.




서양의 실크해트나 중절모와 같은 페도라, 헌팅캡 같은 모자를 참 멋지다고 생각했는데

이제는 우리나라의 전립이나 유건, 족두리, 호건 등이 참 아름답게 느껴집니다.

아이가 어릴 때 아얌이나 굴레를 씌우면 참 귀엽겠다는 마음도 듭니다.

이런 모자들을 다시 멋지게 디자인 되어 평소에도 쓸 수 있는 날이 오면 좋겠습니다.

이상하고 아름다운 모자 나라의 잃어버린 모자 이야기를 담은 [모자의 나라 조선]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