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자의 인문학 - 돈의 흐름을 읽고 경제의 정곡을 찌르는
가야 게이치 지음, 한세희 옮김 / 문예춘추사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군가가 쓰고 남은 짜투리 용돈을 모으고 싶으니 이율이 괜찮은 적금을 소개해 달라는 글에

'티끌 모아 티끌'이라는 댓글을 본 적 있습니다.

물론 그 댓글에 대해 다들 '왜 저래?'라는 반응을 보였죠.

그런가 하면 20년 전 출생 기념으로 부친이 매수해준 주식 계좌를 성년이 되어 확인해보니

엄청난 수익이 발생했더라는 도시괴담(?) 같은 글도 읽은 기억이 납니다.

이 두 가지 이야기의 차이는 뭘까요? 또 닮은 점은 뭘까요?


[부자의 인문학]은 돈을 버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는 책이 아닙니다.

부자가 되기 위한 기본적인 교양 혹은 공부에 대해 무엇이 필요한지 알려주고 있습니다

고기를 잡아주는 것이 아니라 고기 잡는 방법을 알려주는 셈이죠.

책의 저자인 가야 게이치는 일본의 경제평론가로 억 단위의 자산을 운용하는 개인투자가입니다.

그저 머리로만 익힌 지식을 푸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평생 먹고 살 만큼의 경제적 자유를 이룬

경제전문가이니 그가 부를 이루기 위해 무엇을 배웠는지 자못 궁금합니다.

저자는 책을 통해 인문학의 뜻을 '진리를 깨우치는 데 필요한 종합적인 지식과 생각이

인격과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지식이 조금 있다고 해서 그것을 교양 있는 것으로 여기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보다는 폭넓은 지식과 나의 언행이 유기적으로 연결되었을 때

비로소 인문학을 익혔다고 말할 수 있다.

<부자가 되려면 왜 인문학이 필요할까?> 中에서


인문학은 단어 그대로 '인간의 사상 및 문화를 대상으로 하는 학문'을 뜻합니다.

경제는 결코 저 혼자 돌아가지 않습니다.

인간과 인간 사이에 재화가 오고 가는 시점부터 경제가 시작하는 것이죠.

그러므로 인간의 사상, 문제, 문화 등을 외면하고서는 돈이 돌아가는 구조를 알 수 없습니다.

책의 각 장에 등장하는 사회학, 경제학, 수학, 철학, 역사는 모두 인간으로부터 비롯된 학문임을 알 수 있습니다.

또한 4장에 등장하는 정보공학의 경우 전세계가 네트워크로 연결된 삶을 사는 현대의 마케팅에

가장 중요하게 활용되는 정보의 보고가 되어있습니다.

성공한 부자들은 바로 위 6가지의 인문학을 통해 비즈니스와 투자를 운용해가고 있다는 것이

저자의 주장인 셈이죠.


진리를 깨닫는 데 인문학을 활용한다는 의미는 수식 모델화를 해본다거나,

전망이 좋은 분야를 특화한다거나, 질적인 것과 양적인 것의 차이를 발견하는 등

남들과 다른 시각으로 사물의 본질을 생각한다는 것을 말한다.

<세상에 휘둘리지 않고 돈 버는 법 : 경제학> 中에서


세상은 돈을 쓰는 사람과 돈을 버는 사람으로 나뉘어져 있는 것 같다는 생각이 종종 듭니다.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각종 SNS 플랫폼의 운영자들은 이용자들을 하나의 데이터로 여기고

돈벌이의 수단으로 바라보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구심을 품게 됩니다.

부자가 되지는 못하더라도 적어도 부자들이 돈을 벌기 위해 어떤 수단과 방법을 배우고 익히는지

한번쯤은 읽어봐도 좋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실용주의의 시초인 미국의 사상사 랠프 월도 에머슨은

'모든 인생을 실험이다'라고 말했다.

실험은 반복할수록 점점 진실에 다가갈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비록 실험은 실패했어도 방법이 잘못되었다는 사실을

깨달을 수 있기에 모든 것이 성과다.

이처럼 모든 인생을 실험이라 생각하면,

새로운 환경을 두려워하거나 신경 쓸 필요가 없다. 

<사람을 얻고 돈을 버는 구조 : 철학> 中에서



'티끌은 아무리 모아도 티끌'이란 말에 저는 동의하지 않습니다.

티끌은 처음부터 티끌이 아니었을 테니까요.

큰 덩어리였던 것이 티끌처럼 자잘하게 나뉘어질 수 있다면

잘게 나뉘어진 티끌들이 다시 뭉쳐 큰 덩어리가 될 것이라고 저는 믿으니까요.

지금부터 사물이나 현상을 바라볼 때 무심히 여기고 지나가지 않으렵니다.

어쩌면 거기서 인간의 니즈(needs)를 발견하게 될지도 모르니까요.

본질을 꿰뚫어볼 수 있는 힘을 기르고 싶다면 [부자의 인문학]을 읽어보시길 바랍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