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처구니 있는 멘탈 관리 - 집 나간 어처구니 찾아오는 신박한 멘탈 관리법
박준화 지음 / 쉼(도서출판)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육아를 하다 보면 의외로 멘탈이 나가는 상황에 자주 처하게 됩니다.

'내 안에 이토록이나 화가 많았던 사람인가, 이렇게 유치한 사람이었던가?'

싶을 만큼 자아성찰과 자기반성의 기회가 잦아지더군요.

또 왜 평소라면 아무렇지도 않을 문제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게 되고

때로는 분노가 일어나거나 부끄러워지는에 대해서도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심리학에서는 그걸 '취약성'이라고 하더군요.


[어처구니 있는 멘탈 관리]는 바로 멘탈의 취약성에 관해 이야기하는 책입니다.

저자인 박준화 체인지 심리최면 상담센터 소장은 본인이야말로 멘탈 문제아 출신임을

책을 통해 숨김없이 드러내고 있습니다.

그는 대학 시절 빠짐없이 준비했던 유학 과정 중 마지막 단계인 추천 서류를 부탁하지 못해

결국 유학을 떠나지 못하게 된 이후 멘탈이 붕괴되고 말았다고 합니다.

이후 심리상담을 전공하며 멘탈을 되찾고 회복하는 방법 찾아 헤맨 끝에 지금은

사람들의 멘탄 회복을 돕는 일을 하고 있습니다.

이 책에 담긴 정보들은 저자가 운영하는 유튜브 '멘붕박사'의 핵심만을 모아 담은

멘탈 관리 매뉴얼이라고 하네요.

우리의 멘탈이 무너지는 이유 또한 바로 '취약성' 때문이라고 합니다.

취약성은 세트 메뉴처럼 '자극, 생각, 감정, 행동' 이 4가지의 요소로 이뤄져 있습니다.

취약성은 어느 하나가 건드려져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4가지 요소가 연쇄적으로

반응하면서 멘탈이 고장난다는 것이죠.




예를 들어 저는 시간관리를 못했다는 자극을 받으면 '나는 무능한 사람'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고

자괴감의 감정에 빠져들면서 그날 하루 할 일은 모조리 미뤄버리고 될대로 되라며

방구석에 드러누워 TV나 쳐다보는 행동을 하게 되는 것이죠.

책은 이와 같은 멘탈 취약성에 대해 먼저 알아차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으로는 '기록'을 하는 것이며 <취약성 기록지>를 추천해 주었습니다.




멘탈 취약성을 깨뜨리는 방법으로는 '생각'이 자동적으로 떠오르는 걸 망가트리면 됩니다.

어떻게 가능하냐고요?

자세한 방법은 책에서 모두 다 알려주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좋겠네요.

저의 경우엔 '무능한 사람'이란 생각이 떠오를 때면

'그럴 수도 있지. 그 다음 계획도 중요하니까 차근차근 실천해보자!'라고

행동을 수정하게 되었습니다.

앞서 멘탈 취약성 찾기의 예시로 제 이야기를 했습니다만 이 책이 잘 읽히는 이유는

바로 저자의 경험이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었기에 제 이야기도 자연스럽게 나왔습니다.

어려운 이론이나 현실과 동떨어진 예시가 아니라서 쉽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는 것이

이 책의 장점입니다.

그리고 저자가 제시한 솔루션을 잘 따라가면 멘탈의 취약성도 관리할 수 있고

조금 더 욕심 낸다면 사람들과의 관계에서도 꽤 괜찮은 사람이 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나는 착한 사람 독재를 몰아내고 '괜찮은 사람'으로 헌법을 개정한 후

이전에는 엄두도 못 냈을 법한 프로젝트에 도전한 적이 있다.

'난 매력 있는 사람이다.'로 신념을 바꾸어 보기로 작정한 것이다.

신념 업데이트를 시작한 지 두 달쯤 지났을 때였던 것 같다.

어느 날 거울을 보는데 내 얼굴이 그럭저럭 마음에 들어 보이는 것이 아닌가.

제 눈에 안경이라는 말은 참 잘 만든 말인 것 같았다.

무슨 뜻인지 애매할 때도 있지만.

<내가 원하는 나 만들기> 中에서


'육아'는 제 안의 숨어있는 저를 자주 발견했던 계기가 되었던 것 같습니다.

그야말로 육아育兒를 통해 육아育我를 한 셈이랄까요?

물론 여전히 아이의 사회 경험을 통해 저의 어디가 취약하고 상처를 받게 되는지 계속 발굴하게 되는

사건들이 많습니다만 그래서 더 저라는 사람이 단단해지는 기회라는 생각도 듭니다.

그렇다 하더라도 어쩌다 가끔 멘탈이 무너질 때면 이 책을 찾아 읽어야겠습니다.

집 나간 어처구니를 찾고 싶으신가요?

원하는 삶을 살 수 있도록 멘탈 프로그램을 업데이트 시켜주는

[어처구니 있는 멘탈 관리]를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