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의 조건 - 융 심리학으로 보는 친밀한 관계의 심층심리
제임스 홀리스 지음, 김현철 옮김 / 더퀘스트 / 2022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랑에는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부부의 사랑, 부모와 자식의 사랑, 형제자매와의 사랑, 친구와의 사랑, 반려동물과의 사랑 그리고

그 밖에 셀 수 없는 여러 종류의 사랑이 세상엔 존재하지요.

사랑에는 조건이 없다고 합니다.

받는 것보다 주는 것이 사랑이라고도 하지요.

그래서 사랑을 눈물의 씨앗이라고 하는지도 모릅니다.

막 퍼주다 보니 남는 게 없어서요.  


[사랑의 조건]은 예전 본 어떤 드라마 제목 같은 느낌을 주는 책이지만

융 심리학을 통해 살펴보는 관계의 심층심리를 분석한 내용의 교양심리서적입니다.

저자인 제임스 홀리스는 스위스 취리히의 융 연구소에서 정신분석을 공부한 후 현재 미국에서

융 학파 정신분석가로 활동하며 융 심리학과 관련한 대중서적을 집필하였습니다.

이 책은 1998년에 출간된 후 '자기 Self'를 찾으려는 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있습니다.


자기란 생명체가 가진 합목적성, 최대한 온전히 그 형태를 갖춘다는 목적을 달성하려는 의도다. (중략)

자기가 가진 의도를 '읽어'내는 것은 융 심리학 기반 심리료에서 가장 중요한 과제이자

치료 과정의 핵심이다. (중략) 그러므로 상처받기 쉬운 자아는 자기란 영원히 알 수 없는

미지의 존재라는 것을 '인식'하는 데 만족해야 한다.

<1장. 읽어버린 낙원> 中에서



우리는 당연하다는 듯 타인을 통해 행복을 찾으려고 합니다.

'저 사람이라면 행복할 것'이라고, '저 사람만이 내 삶을 완벽하게 할 것'이라고 생각하며

기꺼이 인생을 거는 무모한 모험을 감행하는 것이죠.

하지만 저자는 그런 '마법 같은 동반자'라는 환상에서부터 심리적 고통이 시작된다고 말합니다.

인간이 가진 심리적 고통은 관계에서 비롯됩니다.


우리는 모두 인생을 살면서 상처를 겪으며, 상처는 물론 상처에 수반되는 에너지까지

자신의 일부분이 된다. 진짜 문제는 우리가 상처를 소유하는가,

아니면 상처가 우리를 소유하는가에 있다.

<1장. 잃어버린 낙원> 中에서


소크라테스의 위대한 명언 '너 자신을 알라'는 알고 보면 꽤 무거운 말입니다.

자기 자신에 대해 모르고 있는 사람들은 결코 스스로를 주체적으로 이끌어 갈 수 없습니다.

내면의 상처를 알지 못한 채 타인에게 그 상처를 투사하여 서로 고통을 지게 되는 것이죠.

자신을 온전히 알고 있다면 타인과의 결합을 통해 행복을 찾으려고 하지 않을 것이라는 걸

저자가 책을 통해 강조하고 있습니다.


사랑의 힘을 발견할 수 있는 가장 흔한 사례는 공포를 이겨낼 때다.

공포가 지배하는 곳에 사랑은 없다. 공포는 어디에나 있으므로

공포에서 사랑으로 옮겨가는 일은 만만찮은 도전이다.

자신의 공포를 마주하며, 애매함 및 양가감정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사람만이 타자를 사랑할 힘을 얻는다.

<3장. 커플> 中에서


우리는 타인과 관계를 맺으면서 버림받는다는 공포, 억눌린다는 공포, 무의미할지도 모른다는

공포에 짓눌리고 있습니다.

하지만 타인이 아닌 나와의 관계로 바꿔 말해보면 어떨까요?

나와의 관계에서 내가 나를 버린다든가 내가 나를 억누른다든가 내 삶을 무의미하게 바라볼 수 있을까요?

나 자신을 직시하고 나의 내면을 바라볼 때 타인을 향한 시선이 바뀔 수 있음을

이 책을 통해 다시 한번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모든 삶은 관계다.>



제가 결혼을 결정했을 때 기혼이었던 선배가 제게 이런 말을 해주었습니다.

"혼자서도 잘 놀 자신이 있다면 결혼해도 괜찮다. 하지만 외롭다고 결혼해서는 안 된다." 고요.   

사랑에는 조건이 필요합니다.

'혼자라도 외롭지 않을 자신'이 필요하죠.

타인에게 의존하지 않고 살아갈 자신이 있다면 사랑할 준비가 된 것입니다.

상처에서 벗어나 진정한 나를 찾아가는 내면의 여정 [사랑의 조건]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