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되는가 - 목표를 세우고 성취하는 인지조절의 뇌과학
데이비드 바드르 지음, 김한영 옮김 / 해나무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TV에서 요리전문선생님의 조리법을 메모까지 해가며 열심히 듣습니다.
맛팁까지 꼼꼼히 확인하고 슈퍼에서 재료까지 빠짐없이 준비한 후 요리를 시작합니다.
행여나 순서가 바뀔까봐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마다 메모를 훑어봅니다.
이제 모든 재료가 다 들어가고 요리가 끓기 시작하면 간을 봅니다.
갸우뚱~ 뭔가 2% 부족한 느낌이 듭니다.
어디서부터 잘못된 걸까요? 결국 포기하고 오늘도 역시 MSG를 첨가하고 맙니다.

 

[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되는가]는 전두엽의 인지조절 기능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합니다.
뇌과학에 관심이 없는 분들은 책에 등장하는 전두엽이나 전전두피질, 인지조절기능과 같은 단어들생소하게 느껴질 것 같습니다만 이 책에서는 처음부터 실생활 속에 일어나는 에피소드들을 통해
쉽고 간단하게 설명해주고 있습니다.
특히 저는 제1장의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을 읽으며 많은 공감과 이해를 얻게 되었어요.

 

가장 잘 형성된 세계 이미지, 행동 규칙에 명확한 인식,
결과를 얻으려는 절박한 욕구가 있을지라도,
뇌는 그렇게 '알고 있는 것'을 실행할 방법을 알아야 한다.
이 말은, 추상적인 목표를 순간 순간 복잡하게 이어지는 행동으로

바꿀 수단이 있어야 한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지식과 의도가 온전할지라도 온전한 행동을 보장하기에는

부족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 中에서

 

인간의 두뇌가 가진 복잡한 메커니즘들로 인해 아직도 연구대상으로 남아있기는 하지만
전두엽에 대한 정확한 기능 또한 최근에서야 제대로 연구되고 밝혀졌다는 사실이 놀라웠습니다.
그전까지는 전두엽의 기능을 알지못해 절제수술이 성행했다고 하네요.
또 일부 뇌과학자들은 인간의 뇌를 3개의 층으로 나누고 각각 파충류의 뇌, 포유류의 뇌
그리고 인간의 뇌로 부르며 파충류와 포유류의 뇌는 오래된 뇌, 인간의 뇌는 새로운 뇌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인간의 뇌에 속하는 것은 바로 이 대뇌피질이며 인지기능을 지닌 전두엽이 여기에 속해 있지요.
여기에 문제가 생기면 퇴행성 질환인 치매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전두엽의 기능이 제대로 밝혀지지 못한 까닭은 제1장에서 자세히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인지기능에 장애가 생기더라도 지식은 사라지지 않으나 행동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죠.
말도 유창하게 잘하고 질문에 대답도 올바르게 하지만 행동이 그것을 따르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두엽의 기능이 바로 알려지지 못했다고 하네요.

 

 

 

 

앞서 이야기한 저의 상황처럼 요리를 아무리 열심히 글로 배웠다고 하더라도
실제로 요리전문가처럼 요리하려면 상당한 정신노동과 연습이 필요하다는 것이 이 책의 주장입니다.
굉장히 흥미로운 이야기이지 않나요?
또한 사람들이 부러워하는 멀티태스킹이라는 행위는 뇌의 기능상 결코 이뤄질 수 없는 재주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정말 다행이네요)

 

이제 확실해졌다.
우리가 멀티태스킹에 서툴다는 것, 동시에 몇 가지 일을 하지 말아야 한다는 것,
그런데도 다들 기회만 있으면 멀티태스킹을 하려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 이유는 멀티태스킹을 할 때 우리의 인지와 정신이 막다른 골목에 부딪히기 때문이다.
<멀티태스킹의 비밀> 中에서

 

자세한 이야기는 [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되는가]에서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두뇌의 세계는 알면 알수록 신비롭네요.
뇌과학 관련 서적을 읽을 때마다 삶의 중심을 머리를 두고 사는지 가슴에 두고 사는지 궁금해집니다.
어쨌든 제가 아는 것과 행동하는 것이 다르게 나타날 때를 빨리 알아차려야 할 필요가 있네요.
목표를 세우고 성취하는 인지조절의 뇌과학을 다룬 [생각은 어떻게 행동이 되는가]를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