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별자리 여행
지호진 지음, 이혁 그림, 이대암 감수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골집 밤하늘은 참 새까맸습니다.

방안에서조차 어두운 형광등 불빛 외엔 불빛 한 점 없는 외딴 시골집에서 보내는 밤은

그래서 더 까맣고 어두웠던 기억이 있습니다.

모기불을 피워 놓고 평상에 드러누워 올려다본 밤하늘 어찌 그리도 찬란했는지요.

금방이라도 별들이 쏟아질 듯 빼곡이 들어차 반짝이던 그 밤.

아는 별자리라고는 '북두칠성'밖에 없던 시절의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별자리 여행]은 우리가 잊고 있던 별들의 이야기입니다.

밤하늘에 빛나는 수많은 별들 중에서 몇몇 별들을 골라 선으로 이어 캐릭터를 만들고

거기에 이름을 부여하고 이야기를 덧붙이는 상상을 하다니 무척 낭만적이죠.

아쉽게도 별자리의 이름과 이야기들은 대부분 그리스로마의 신화에서 비롯되었지만요.

전갈자리, 천칭자리, 처녀자리, 물병자리 등등은 우리가 흔히 접하는 별자리인데

보통 별자리 운세를 통해 본인의 별자리를 알게 되는 경우가 많죠.

또 별들에게는 카시오페이아, 스피카, 베가, 알타이르 등등은 이름이 부여된 경우도 있습니다.

지구가 공전함에 따라 계절이 변하기도 하지만 계절별로 볼 수 있는 별자리도 따로 존재합니다.



사실 밤하늘에 별자리를 찾아보라고 하면 저는 눈뜬 장님이나 다름없습니다.(웃음)

몇번이고 도전해봤지만 제일 눈에 익은 '북두칠성'밖에 보이지 않더라고요.

근데 알고 보니 북두칠성이 큰곰자리의 꼬리에 속한다고 하네요.




다행히 [오늘은, 별자리 여행]에서는 별자리를 쉽게 찾도록 알려주고 있습니다.

또 별자리에 얽힌 이야기도 곁들이고 있어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고

만화로 그려져 있기 때문에 쉽게 책 속에 빠져드는 재미가 있습니다.

제가 책을 읽고 있을 때 아직 미취학년의 아이가 옆에서 흘긋거리다 무슨 책이냐고 묻길래

별에 관한 책이라고 하니 자기도 읽어보고 싶다며 관심을 보이네요.

아무래도 다가오는 휴일에는 가까운 천문대를 방문해야겠습니다.



밤이면 분명 빛나고 있을 별들을 우리는 언제부터 바라보지 않게 되었을까요?

도심의 밤은 어디든 조명 빛으로 가득해서 하늘의 별빛보다 눈부시게 밝습니다.

그런 빛에 반사된 하늘은 더 이상 별빛이 나설 곳이 사라졌을지도 모릅니다.

아니면 대기에 가득찬 미세먼지와 오염물질들이 별빛이 새어나오지 못하도록 막았을지도 모르죠.

하지만 분명 별빛은 그 너머에서 빛나고 있습니다.

몇 만년의 시공간을 초월하여 지구로 닿았을테지요.

신화의 이야기이자 별들의 이야기로 가득한 [오늘은, 별자리 여행]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