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꾸로 소크라테스
이사카 고타로 지음, 김은모 옮김 / ㈜소미미디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장아장 걸음마를 막 시작한 아이가 이제 새로운 세계로 발을 내딛습니다.

매순간이 처음이라 신기한 것도 잔뜩, 궁금한 것도 가득.

그렇게 시작한 걸음이 이제 초등학교로 이어집니다.

아이는 어떤 세상을 만나게 될까요?


[거꾸로 소크라테스]는 아이들의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어른에게 많은 생각거리를 던져줍니다.

초등학생이란 그런 느낌입니다.

유아의 때는 벗어났지만 청소년이라고 하기에는 아직 어린...

그런데 주변의 상황과 위치에 있어서는 민감도와 반응도가 엄청 차이나는...

눈치는 빠르지만 유아일 때처럼 쉽게 표현하지는 않는데 어쩐지가 티가 나는 느낌이랄까요?

이제 모르는 것 없다는 듯 다 아는 것처럼 굴지만 여전히 순진함이 남아있는 느낌이죠.

얄밉지만 결코 미워할 수 없는 포지션이 바로 초등학생인 것 같습니다.


작가는 [골든슬럼버], [마왕], [종말의 바보]등을 집필한 '이사카 고타로'작가입니다.

작가로 데뷔한지 무려 20년이란 세월이 지났음에도 그의 필력은 매력적이네요.

[거꾸로 소크라테스]는 총 다섯 편의 단편으로 꾸며져 있습니다.

책 속에 등장하는 초등학생들은 고정관념과 편견으로 똘똘 뭉친 어른의 세계를

아이들만의 시각에서 재해석하고 재치있게 뒤집어버릴 수 있는 깜찍한 해결법을 제시합니다.

표제작인 <거꾸로 소크라테스>의 경우 선생님의 선입관을 뒤집어버리기 위해 시작한

아이들의 영리한(?) 작전은 결국 한 아이의 삶을 뒤바꾸는 결과를 낳아버리고 말죠.

저는 <비非옵티머스> 편을 읽고 이사카 고타로 작가의 매력에 푹 빠지고 말았습니다.

아이의 기민한 눈치가 자칫 큰 사건이 될뻔한 사고를 막을 수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들었거든요.

게다가 뻔하지만 왠지 뻔하지 않은 반전까지 위트있게 마무리지어서 이것이 작가의 힘이로구나, 했습니다.


비에 축축이 젖은 그날 밤 이후로 선생님은 저주가 풀린 것처럼 후련해 보였다.

후쿠오가 양철 필통을 떨어뜨리기 직전에 선생님은 종이봉투에서 뭘 꺼내려고 했을까.

실은 뭘 할 생각이었을까.

<비옵티머스> 中에서


소설 속 이 부분을 읽으며 살짝 소름이 돋았어요.

다시 생각해보니 '정말 그러네. 뭘 할 생각이었을까. 아이들이 아니었다면 무슨 일이 일어났을까.'

하며 다음 페이지로 넘기지 못하고 한동안 멍해져 버렸거든요.

물론 콧잔등이 시큰해지는 결말도 있습니다.


"왜 울고 그래?" 이소켄이 물었다.

아아, 돈 콜레오네, 하고 나는 불렀다.

"무슨 일이지?"

왜 눈물이 멈추지 않는 걸까요.

"음."

<슬로하지 않다> 中에서


어른들은 이미 거쳐온 초등학생 시절.

우리가 자주 쓰는 속담 '개구리 올챙이 적 생각 못 한다'는 말을 떠올리게 하네요.

[거꾸로 소크라테스]를 읽으며 한번쯤 나의 초등학생 시절은 어땠더라, 기억을 더듬어보게 되네요.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교육의 여건이나 생활의 환경이 바뀌기는 했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는 건 '아이들은 쉼 없이 자란다'는 사실이랄까요?

아이들은 작은 철학자라는 말이 새삼 떠오릅니다.

어른들의 선입견을 뒤집어버리는 아이들의 이야기 [거꾸로 소크라테스]를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