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의 숲 - 나의 문어 선생님과 함께한 야생의 세계
크레이그 포스터.로스 프릴링크 지음, 이충호 옮김 / 해나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환경을 다룬 다큐멘터리에서 무서운 것을 보았습니다.

죽은 바다거북 배속에 들어있던 것들.

그건 바로 플라스틱과 비닐 조각, 그리고 스티로폼들이었습니다.

바다거북의 사인은 '아사'

바다에 떠다니는 것들을 먹이로 착각하고 먹었는데 그것들이 소화되지 않으니

계속 포만감에 차서 먹이를 먹지 않았기 때문이죠.

이것이 그저 바다거북만의 일이겠습니까?


[바다의 숲]은 아름다움 그 자체였습니다.

우리가 아는 바다 생물과 몰랐던 생물들 그리고 아직도 발견되지 않았던 생물들이

바다 안에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그들에게 바다는 삶의 터전입니다.

이들의 비밀스러운 생활을 촬영하여 사람들에게 알린 사람은 누구일까요?

바로 올해 아카데미상 다큐멘터리 부분을 수상한 <나의 문어 선생님>의 제작자입니다.

남아프리카의 바다 그곳의 해초 숲에서 헤엄치는 문어를 만나고 교감을 나눈 이야기이지요.

저자인 크레이그 포스터는 문어와의 만남으로 인해 삶이 바뀌었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또 공동저자인 로스 프릴링크는 크레이그 포스터를 따라 시작한 잠수의 매력에 푹 빠졌고

그와 함께 몇 년 동안 경이로움이 가득한 바다 속을 여행하면서 사진을 찍었다고 합니다.


바다의 야생 자연에 몰입하는 활동이 나를 변화시킨다는 사실을 발견했지만,

그 변화는 다소 기묘하고 곤혹스러운 방식으로 일어났다.

그때까지 살아온 거의 모든 시간 동안 얼어붙은 채 망각되었던 기억과 본능이

녹기 시작했고, 내가 이해하지도 제어하지도 못했던 힘들이 깨어나기 시작했다.

<바다의 숲> 로스 프릴링크의 말


책 속의 페이지마다 펼쳐진 바다 속 풍경이 저의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책 속의 해양 생물 중 제가 아는 개체는 거의 없네요.

그저 파도만 바라보던 우리로서는 알지 못하는 바다 밑은 이토록 생명력으로 가득합니다.



우리는 모두 동일한 것을 갖고 있다.

즉, 내면에 미녀와 야수가 함께 존재한다.

야생 자연, 특히 우리가 기원한 장소일 가능성이 아주 높은 이곳 야생 자연은

우리가 실제로 어떤 존재인지 드러내는 아주 밝은 빛을 비춰준다.

<바다의 숲> 크레이그 포스터의 말



이 책은 단순히 바다 속 생태계를 말하지 않습니다.

바다 안에서 인생의 참의미를 찾아낸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우리에게 바다는 어떤 의미일까요?

책 속의 사진들은 저 혼자만 보기 아까워서 가족에게 보여줬습니다.

해파리의 유영을 찍은 사진, 바다 밑 해초가 물살에 흔들리며 햇살을 받는 사진,

각종 해양 생물들의 증명사진.... 바다는 살아있습니다.

우리가 보지 못한다고 해도 그곳은 분명 살아 숨쉬고 있습니다.

저는 다시 한번 인간은 위대한 자연의 일부라는 걸 깨닫습니다.

아직 보지 못한 다큐멘터리 <나의 문어 선생님>을 감상해야겠네요.

바다 속 야생의 세계의 아름다움을 엿볼 수 있는 [바다의 숲]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