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난 의사와 미친 이웃들
니나 리케 지음, 장윤경 옮김 / 팩토리나인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결혼생활은 '사랑과 전쟁'입니다.

어느 관계나 마찬가지겠지만 부부는 특히 서로의 신뢰가 무너지면

돌이킬 수 없는 단계를 지나 평생의 원수가 되어버리죠.

서로를 잘 안다고 생각하지만 또 가장 알 수 없는 속을 가진 타인과 함께

한 이불을 덮고 산다는 것은 참 묘한 관계가 아닐 수 없습니다.


[바람난 의사와 미친 이웃들]이라는 도발적인 제목을 가진 소설이 있습니다.

여느 중산층 가정의 아내이자 마을의 주치의나 다름없는 가정의학과 의사인 엘렌은

우연히 소식을 알게 된 옛 애인과 재회하게 되면서 아슬아슬한 일상의 줄타기를 시작합니다.

권태에 빠진 무료한 결혼생활과 신선한 자극이 이어지는 비밀 만남 속에

이중생활을 끝내야지 하면서도 이어나가는 엘렌에게

그녀의 심경을 알기라도 하듯 그녀를 미치게 만드는 환자들이 끊이지 않죠.

제대로 닦지도 않은 엉덩이를 들이미는 치질환자, 임신을 원하는 갓 결혼한 불륜커플, 

살 빼는 것만 빼고 의사가 금하는 것은 다 하는 고도비만 환자 등등

그녀는 그들 앞에서는 최대한 미소 지으며 친절하고 다정하게 대하지만

그들이 진찰실 문을 나서는 순간부터 그들에게 이를 갈며 분노를 퍼붓습니다.

그런 그녀의 심정을 알아주는 것은 오직 단 한 사람(이랄까요?)

바로 그녀가 오래전 사들인 플라스틱으로 만든 모형 해골 토레뿐이죠.

이쯤되면 진짜 미칠 지경인 사람은 엘렌의 이웃이 아닌 바로 엘렌 자신이랄 수 있겠네요.

끊임없이 자신을 찾아오는 환자를 상대하면서 엘렌은 겉으로 드러난 평온함과 달리

속으론 온갖 생각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식으로 소설은 전개됩니다.


'모든 것은 언제부터 시작되었을까. 나는 어떻게 여기 내려앉게 되었을까'

마지막으로 결코 사소하지 않은 질문 하나.

'언제쯤 나는 다른 결정들을 내리게 될까'

<바람난 의사와 미친 이웃들> 中에서


그녀와 그녀의 이웃들은 그저 허울과 모순으로 가득찬 인생을 살아갈 따름입니다.

남들 앞에서는 그럴싸한 모습을 보이지만 자신의 내밀한 모습을 보일 수 있는 사람 앞에서 만큼은

있는 그대로 까발리고 마는 본성, 겉과 속의 차이가 크면 클수록

더 많이 감추고 또 비밀리에 더 과감히 드러내는 법이죠.

노르웨이의 작가 니나 리케는 그러한 사실을 유쾌하게 소설로 풀어냈습니다.


'여기 성불능 아닌 사람, 고독하지 않은 사람, 지치지 않은 사람, 두통 없는 사람있어요?

요통 없는 사람? 불면증 아닌 사람은? 앓는 소리 들고 제발 꺼져버리세요.

해가 바뀌어도 똑같아. 대부분의 질병과 통증은 저절로 흘러갑니다.

<<바람난 의사와 미친 이웃들> 中에서


읽는 내내 어쩐지 작년에 한창 화제를 일으켰던 드라마 <부부의 세계>가 떠올랐습니다.

물론 상황은 다르지만 한국이나 노르웨이나 부부의 세계는 다를 바가 없네요.

일탈의 끝에 선 엘렌이 맞이하게 될 결말은 과연 무엇일까요?

표지에서부터 유쾌함이 묻어나는 소설 [바람난 의사와 미친 이웃들]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