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와 함께 산책을 - 세상의 속도에 휩쓸리지 않고 나를 여행하는 법
시라토리 하루히코 지음, 김윤경 옮김 / 다산초당(다산북스)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봄이 꽃피는 소식을 알릴 무렵 산책을 시작했어요.

걷는 동안 많은 생각들을 떠올렸고 많은 편견과 아집들을 버렸지요.

걷고 나서 땀을 씻어낼 때 마음도 함께 씻어냈습니다.

남은 것과 저와 제 삶에 대한 생각들이었지요.


[니체와 함께 산책을]이란 제목을 읽고 오해했어요.

산책을 좋아하는 니체가 걸으면서 얻게 된 철학사상에 대해 다룬 줄 알았더니

명상과 깨달음을 주제로 한 책이었습니다.

명상이란 것이 자리잡고 앉아서 머리 속에 떠오르는 생각을 비우기 위해 애쓰는 것만이 아닌

일상생활 속에 단순한 가사노동을 하다가도 생각이 비워지는 순간이 바로 명상의 일환이라고 합니다.


실제로 우리는 많은 순간에 종종 명상 상태에 있었을 것이다.

이때의 명상 상태란, 자신의 존재마저 잊고

그저 눈앞에 펼쳐진 광경에 빨려 들어간 상태를 말한다.

<철학자처럼 자유로워지는 법> 中에서


저는 요즘 새벽에 일어나 그림을 그리고 있는데 열심히 선을 긋고 색을 칠하다 보면

머리 속이 비워지고 아무 생각 없이 시간이 훌쩍 지나간 것을 깨닫습니다.

어두웠던 창밖이 훤히 밝아지고 나서야 비로소 온전히 그림 속에 파묻혀 있었다는 걸 느껴요.

그 또한 책에서 말하는 명상의 상태가 아닐까? 생각해보게 됩니다.

책은 또한 관계에 대해서 말하고 있습니다.

요즘 현대인들은 나를 지운 채 상대의 가치 기준에 따라 목적을 이루는데 중점을 둔다지요.

그러면서 자신을 되찾고 올바로 바라보게하는 것은 '깨달음'을 통해 가능하다고 말합니다.


부버가 말하는 '나와 너'의 관계를 아주 간단히 설명하면,

아무런 조건이나 이해타산 없이 상대를 속이거나 숨기는 일 없이

사람 대 사람으로, 사랑으로 충만한 관계가 되는 것이다.

<나의 영혼을 되찾는 시간> 中에서


읽으면 읽을수록 명상에 대한 고정관념이 비워지는 느낌이 듭니다.

명상이 이렇게 쉬운 줄 알았더라면 좀더 편하게 할 수 있었을텐데요.

비워진 마음 속에 뭔가를 채우지 않고 후련하게 살아갈 수 있었을텐데

아쉽다는 생각이 듭니다.

명상과 관조에 대한 아주 명쾌한 해석에 안심하게 됩니다.


외부에서 벌어지는 잡다한 일, 자기 내면에 도사리는 갖가지 근심과 감정에 쏠린

의식 자체를 버려야 한다.

그렇게 내면이 오전히 비워질 때 관조와 명상이 가능해진다.

<나만의 가치관을 창조하라> 中에서


명상할 때마다 명상하는 이미지에 사로잡혀 생각이 얽히고 설켰는데

이제는 따로 명상의 시간을 가지기보다 하늘의 흘러가는 구름을 바라보거나

단순한 작업을 하면서 명상에 빠져야겠다고 결심해봅니다.

여러분은 어떤 일을 할 때 머리가 비워지나요?

[니체와 함께 산책을]을 읽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