묘사의 힘 - 말하지 말고 보여주라 내 글이 작품이 되는 법
샌드라 거스 지음, 지여울 옮김 / 윌북 / 2021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일기를 쓸 때면 늘 '누군가에게 보이는 글'이라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처음 쓴 일기는 초등학생 때였는데 그때는 선생님께 일기를 검사 맡고

'참잘했어요' 도장을 받았거든요.

때론 일기 내용에 대해 첨삭해주는 선생님도 계셨습니다.

그래서였을까요?

늘 쓰는 일기부터 누군가에게 전달하는 형식으로 쓰다 보니

글쓰기 또한 말하듯 간단하게 상황만 쓰게 된 것은요.


[묘사의 힘]에서는 "말하지 말고 보여주라"고 합니다.

예를 들면 '티나는 화가 났다'라는 문장이 <말하기>라면

'티나는 문을 박살낼 듯한 기세로 닫더니 발을 쿵쾅거리며 주방으로 들어왔다. "도대체 무슨 생각이었던거야?"' 

이런 문장이 <보여주기>라는 것이죠.

<말하기>식 문장이 작가 위주의 글쓰기라면

<보여주기>식 문장은 독자 위주의 글쓰기가 아닐까 생각됩니다.


말하기는 독자가 이야기 속 사건과 인물에게 거리를 두게 하며

정보를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게 만든다.

보여주기는 독자를 이야기 안으로 끌어들여 능동적인 참여자로 만든다.

<묘사의 힘> 中에서


책을 읽다 보면 이야기가 제멋대로인 느낌이 들 때가 있습니다.

독자인 저는 그저 문장만 따라가다 작품이 끝나는 바람에 "응? 이게 뭐지?"라며

어리둥절해지는 경우가 가끔 있지요.

작품 속으로 독자를 끌어당겨서 주인공과 함께 웃고 함께 울며 응원해주기보다

그저 '이 이야기는 그래서 언제 끝날 건가?' 책을 덮고 싶을 때도 있고요.

그때는 왜 그랬는지 몰랐는데 [묘사의 힘]을 읽고 서야 알게 되었습니다.

작가의 '보여주기' 힘이 부족했다는 사실을요.


독자를 이야기에 완전히 몰입시키기 위해서는, 그리고 그들이 주인공과

소설 속 사건을 함께 경험해나가게 만들기 위해서는,

여러분은 '보여주기' 기술을 자유자재로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

<묘사의 힘> 中에서


[묘사의 힘]은 얇은 책인만큼 내용이 충실해요.

군더더기 없이 바로 보여주는 글쓰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리가 체계적으로 되어 있어요.

여러 문장을 예시로 들어 말하기와 보여주기를 비교하며 설명하고

또한 각 장의 끝나면 다양한 연습문제를 통해 직접 보여주기 문장을 작성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물론 이 책 한 권으로 금방 문장의 변화가 일어나지는 않겠지만

적어도 지금 자신의 글이 말하기인지 보여주기인지, 의식할 수는 있지 않을까요?


저는 [묘사의 힘]을 출간한 윌북의 SNS을 통해 <굿노트 워크북>도 얻었습니다.

여태까지 제 글의 문제점은 어휘력 부족이라고 생각했는데

앞서 말한 제멋대로 전개되는 작품처럼 저 또한 '보여주기'가 많이 부족한 글을

썼다는 걸 이번에 확실히 느꼈습니다.

좀 더 배우고 연습해서 제 글이 작품이 되는 글쓰기를 해보겠습니다.

지금 당신의 문장을 어떤가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