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토록 매혹적인 아랍이라니 - 올드 사나에서 바그다드까지 18년 5개국 6570일의 사막 일기
손원호 지음 / 부키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슬람, 낙타, 사막, 피라미드, 술탄, 바그다드, 중동전쟁, 석유

'아랍'이라는 단어를 들으면 떠오르는 연관 단어들입니다.

아, 아라비안 나이트도 있지요.

아주 보편적인 선입관이라고 할 수 있네요.

대체적으로 아랍국가들은 북남미나 유럽, 아시아와는 달리 자주 접하지 못했기도 하고

접하더라도 아주 단편적인 부분들이나 뉴스를 통한 부분적인 모습만 접했기 때문일 테지요.

그래서 아랍은 신비로운 오아시스와 같은 존재로 느껴집니다.


[이토록 매혹적인 아랍이라니]를 읽게 된 이유는 오직 '그것이 알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아랍국가들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었어요.

아랍에는 어떤 역사를 이루었는지 궁금하고 아랍사람들의 일상을 차지하고 있는 이슬람교가 궁금하고

왜 항상 전쟁을 벌이는지 궁금하고 어떤 문화를 가지고 있는지 궁금했거든요.

첫번째로 만난 국가 '이집트' 편을 읽으면서 저는 성경책의 '출애굽기' 편을 떠올렸어요.

애굽은 이집트의 옛 명칭이거든요.

모세가 애굽에서 노예생활을 하던 유대민족을 해방시키기 위해 홍해를 가르며 도망쳐나왔던 나라입니다.

출애굽기를 읽을 때 유대민족의 해방을 반대하던 이집트왕이 벌을 받았을 때 인과응보라고 생각했는데

책 속의 '이집트' 편을 읽으면서 온갖 궂은 일을 당한 이집트 입장에서도 좀 억울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느닷없이 노예들을 놔주라는데 그걸 쉽게 받아들일 주인이 있을 리는 없지 않겠어요?

지극히 기독교인의 관점에서 보던 이집트에 대한 색안경을 벗을 수 있는 좋은 기회였습니다.(웃음)

저자는 아마 아랍에 대한 선입견을 벗어던지고 이런 이해를 바라며 이 책을 쓴 것 같습니다.

언제나 시간에 쫓기지 않는 아랍인들은 누구에게나 자신의 시간을 열어 놓는다.

얼마든지 자신의 시간에 들어올 수 있도록 유연성을 발휘한다.

낙타를 타고 사막을 누비며 시간의 흐름에 자신을 맡기던

아랍 선조들의 DNA가 고스란히 남아 있기 때문일 것이다.


흔히 중동국가를 떠올리면 자연스럽게 이슬람교도 떠올리기 쉬운데요.

사실 아랍 곳곳에는 그리스도교의 유적과 흔적이 남아있습니다.

아마도 예수의 탄생지이자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3대 종교의 성지인 예루살렘이 존재하기 때문일테지요.

왜 예루살렘이 중동의 화약고가 되었는지는 '사우디아라비아' 편을 읽으며 아주 조금 알 수 있었어요.

놀라운 점은 무슬림의 조상들도 성경에서 최초의 인간으로 등장하는 '아담'이라는 사실이었어요.

직계조상은 아브라함이 여종 하갈에게서 낳은 아들 이스마엘이라고 할 수 있지만요.

기독교와 이슬람교는 십자군 원정 등을 통해 서로 앙숙인 존재라고 생각했는데

사실은 형제같은 사이가 아닌가?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저자인 손원호 작가는 2003년 처음 이집트의 어학연수를 시작으로 아랍 땅을 밟은 후

한국석유공사에 입사하여 예멘과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아랍에미리트 5개국을

18년동안 살면서 몸소 겪은 사막도시들이 가진 매력적인 이야기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저자가 직접 그린 거리 스케치들과 책 속에 첨부된 사진들, 그림들이 흥미를 더해주고 있지요.




아랍국가에 대한 선입견을 좀 가지고 있었어요.

'전쟁을 좋아하는 나라들'이나 '석유 좀 있다고 젠체하는 나라들'로만 바라봤죠.

하지만 [이토록 매혹적인 아랍이라니]를 읽는 동안 제가 가장 좋아하는 문학작품인 [어린 왕자]가 떠올랐어요.

사막 한 가운데에서 만났던 어린 왕자, 지금은 어느 행성을 여행하고 있을까요?

또 어릴 적 즐겨본 디즈니 애니메이션 <알라딘>을 떠올리며 '램프의 요정 지니를 만난다면 어떤 소원을 빌어볼까?'

상상하기도 했어요.

'이라크의 수도 바그다드의 타그리스 강을 바라보며 과일향이 가득한 물담배를 한번 피워보고 싶다'

이런 소원도 꿈꿔보았습니다.

제게는 역시 마법의 신비와 모험이 가득한 아랍이 더 매혹적이네요.

무더운 여름, 뜨거운 사막 도시의 매력으로 가득한 [이토록 매혹적인 아랍이라니]을 통해

이열치열로 다스려보면 어떨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