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를 바꾼 16가지 꽃 이야기 - 계절마다 피는 평범한 꽃들로 엮어낸 찬란한 인간의 역사 현대지성 테마 세계사 4
캐시어 바디 지음, 이선주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아침 산책을 시작하면서 봄기운을 가득 느낍니다.
파릇파릇 돋아나던 새싹들이 어느새 무성한 나뭇잎들이 되어 햇살을 가려주고
갖가지 꽃들이 자연이 지어준 순리대로 피어나는 모습을 바라보며
생명의 역동성을 한껏 느끼는 요즘이에요.
그래서인지 부쩍 꽃과 나무에 관심이 가고 관련 도서에도 눈길이 가네요.

 

[세계사를 바꾼 16가지 꽃 이야기]는 '꽃 이야기'에 마음이 끌려 읽게 되었습니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의 사계절마다 대표하는 4종류의 꽃을 소개하고 있어요.
꽃들이 등장하는 문학적 배경이나 예술작품, 역사적 사실을 통해 꽃들이 사람들의 마음을
어떻게 사로잡고 움직였는지를 들려주고 있습니다.
전 각 계절마다 등장하는 꽃 중 봄의 카네이션, 여름의 해바라기, 가을의 메리골드, 겨울의 아몬드를 흥미롭게 읽었어요.

 

봄의 카네이션은 보통 어버이날을 상징하는 꽃(흰 카네이션)이기도 하지만 그보다는 먼저
동성애를 암시(녹색 카네이션)하거나 혹은 혁명의 꽃(붉은 카네이션)이기도 합니다.
카네이션의 붉은 색이 저항을 상징하기 때문에 노동자 시위 혹은 러시아 혁명에 등장한 역사적 사실이 있지요.
여름의 해바라기는 역시 빈센트 반 고흐를 떠올리게 하지만
해바라기가 환경보호 운동이나 반전 운동의 상징이 되었다는 사실도 놀랍습니다.
특히 원전폭발사태가 일어났던 체르노빌이나 후쿠시마에는 해바라기를 심어서 오염물질을 제거했다는 사실, 아셨나요?
가을의 메리골드를 가장 인상적으로 봤던 것은 영화 <코코CoCo>였습니다.
멕시코에서는 죽은 자들의 세계인 저승과 이승을 이어주는 매개체가 메리골드 꽃이기에
화면 가득 메리골드의 주황빛이 시종일관 영화를 환하게 만들어줬다는 느낌이 들거든요.
그래서 메리골드의 등장이 반가웠던 부분입니다.

 


겨울의 아몬드 역시 고흐의 아몬드 나무가 떠올랐습니다.
어찌보면 아몬드는 꽃보다 열매가 더 유명해서 꽃이야기에 들어있는게 좀 어색하다는 생각도 들었지만
겨울에 피어나는 꽃은 흔치 않기에 아몬드가 선택되었는지도 모르겠네요. (그럼 벚꽃은?)
책 속에 삽화들이 눈길을 끌어 더욱 읽는 재미가 있었습니다.

 

인간의 인생사, 생로병사에 있어서 꽃이 등장하지 않은 적이 없지 않을 것 같습니다.
탄생의 기쁨도, 죽음의 슬픔도, 사랑의 표현과 사과의 순간에도 사람들은 꽃을 건넸습니다.
꽃이 시들면 사람들은 안타까워하지만 꽃이 지고나면 그 자리엔 씨앗이나 열매가 맺힙니다.
빛나는 미래에 대한 약속을 간직한 것이죠.
꽃들이 만개한 들판을 바라보니 워즈워스의 시 <수선화>가 떠오릅니다.

 

나는 바라보고 또 바라보았지만
그 풍경이 얼마나 값진지 미처 몰랐네

 

세계사를 바꾼 꽃 이야기 궁금하신가요?
이 책으로 만나보세요. [세계사를 바꾼 16가지 꽃 이야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