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와 춤을 추다 - 엄마와 딸을 위한 세 가지 열쇠
파트리시아 들라애 지음, 조연희 옮김 / 일므디 / 202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딸로서 살 때는 잘 몰랐습니다.
원래 그렇게 살아야하는줄 알았죠.
다들 그렇게 사는 거라고 믿었어요.
그런데 아이를 낳고보니 그게 아니란 걸 깨달았습니다.
엄마가 되어보니 어떻게 살아야했는지 깨달았습니다.
책에서 나온 얘기냐고요?
아니요, 바로 제 이야기입니다.

 

[엄마와 춤을 추다]를 읽었습니다.
엄마와 춤을 추는 대상은 누구일까요?
아빠, 아닙니다, 아들, 아닙니다. 바로 딸입니다.
저 제목을 보고 엄마와 춤을 추다니 저로서는 상상이 들지 않았습니다.
엄마를 싫어하지도 미워하지도 않지만 사랑하지도 않는 저이니까요.
그래서 이런 관계를 다룬 비슷한 책들 한번쯤 읽어보았습니다.
엄마와 딸의 관계는 참 복잡합니다. 감정은 더욱 미묘하죠.
나를 사랑하는 사람인데 나를 조정하려들고
나를 응원하는 사람인데 나를 가두려고 하는 사람.
'감정의 쓰레기통'이라는 말을 들었을때 가슴이 따끔거렸습니다.
그런 책들은 여러 가지 조언을 던져줍니다.
'엄마와의 연결고리를 끊어라, 자신의 의견을 내세워라, 이렇게 마주하라' 등등
하지만 이책은 그런 말은 하지 않습니다.
대신 엄마와 딸에게서 직접 들은 이야기를 전하며 공감해주기를 바랄뿐이죠.
진솔하게 나누는 대화 속에서 어쩌면 모녀관계의 재정의를 내릴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자유로운 삶에서 더 큰 기쁨이 찾아와요.]
이 한 문장에서 이 책의 참 잘만났다는 생각이 듭니다.

 

서로 다를 수 있음을 인정하니 그 관계가 편해졌다는 사연을 읽고 또 한번 생각해봤습니다.
'엄마와 나는 서로를 어떻게 보고 있을까?'
이 답을 찾으면 저는 엄마랑 함께 앞으로 어떤 관계로 지낼 수 있을지 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