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어쩌다 학교가 집이 되었다 - 제4회 창비×카카오페이지 영어덜트 소설상 우수상 수상작
김윤 지음 / 창비 / 2023년 11월
평점 :
주인공 이준영은 집안의 경제적 어려움과 내적 방황으로 결국에는 집을 나오기로 한다. 그 와중에 전교회장 신지혜는 눈치를 채고 열쇠 하나를 준다. 아무도 사용하지 않은
책상, 의자만 가득한 한 교실. 준영의 보금자리는 이제 학교이다.
대신 신지혜는 한가지 준영에게 요구한다. 대학을 잘 가기 위해 전교1등 학생 노트를 가져오라고 한다. 대입 코디 선생님에게 대입 전략에 도움이 되기 때문.
준영은 수락한다. 하지만 준영은 도둑질은 하지 않을 예정이었다. 자기만의 규칙과 선을 넘지 않으려 한다.
그 사이에 책 도둑이라는 소문은 전교생으로 퍼져나간다.
준영은 멘토제를 맡게 되고 소미를 알게 된다. 소미는 집을 나가고 싶어한다.
엄마가 때린다는 것이다. 하지만 준영은 소미를 말린다. 집을 나오면 갈 곳이 마땅치 않은 불안정한 시기의 청소년이기 때문이다.
멘토제가 끝나고 소미는 학교에서 사라진다.
수시 기간은 점점 다가오고 결국 자신이 정한 선을 넘게 된다.
전교 1등 사물함 자물쇠를 절단기로 잘랐다. 그런데 사물함에는 달력이 전부였다.
그 순간 인기척이 들린다. 또각.또각. 학교 창고에 "내 집에서 나가"라는 경고를
썼던 사람. 학교 복도에서 추격전이 시작된다.
그러나 놓쳐 버렸다.
어느 날 신지혜가 준영을 불러 만나게 되고 진짜 책 도둑을 찾으려 한다.
신지혜의 영리함으로 준영과 추격전을 한 학생을학교 안에서 발견한다. 그 학생은 방황하는 청소년들에게 쉼터라는 이름으로 유혹하여 한 남성에 넘기는 일종의 브로커.
순간 준영은 소미가 생각났다. 소미를 찾아야 한다. 주소를 알아내서 결국 소미를 구출한다.
소미는 엄마의 품에서 울고 있었다.
📕청소년들의 갈등과 그 속에서 서로 의지하며 버티고
성장하는 주인공들을 그린 이 소설은 어른들에게도 울림을
준다. 내가 어디서 나고 자라 어떤 가족이 있고, 무슨 실패를
겪었든 계속해서 뛰쳐나가다 보면 비로소 자신에게 돌아갈
곳이 있다는 사실. 그때서야 우리는 제대로 된 방향을 정할
수 있다는 것을.
🎄연말 12월이 되면 크리스마스 씰을 구매한다.
그리고 책상에 놓고 씰을 바라보며 연말을 마무리한다.
올해 크리스마스 테마는 그림책 작가 '앤서니 브라운'이다.
귀여운 케릭터들이 마음을 흐믓하게 한다. 올해로 창립
70주년을 맞이한 대한결핵협회. 국내외 결핵퇴치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메리 크리스마스. 행복하고 풍성한 크리스마스 보내세요.
창비 @changbi_insta 에서 책을 제공 받아 감사히 리뷰합니다.
김윤 @yun_23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