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 74 | 75 | 76 | 7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

Did I request thee, Maker, from my clay
To mould Me man? Did I solicit thee
From darkness to promote me?
---Paradise Lost (x. 743-5) - P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의 욕망 중 가장 큰 욕망은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에 대한 욕망이고 나는 이 사람들의 이야기에서 인간적인 아름다움과 경이로움을 본다. 나는 이 경이로운 마음들과 함께 멀리 가보고 싶다. 더 많은 하지 않음, 포기를 발명하면서.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06

세계의 모든 육두구가 18세기 전에는 반다 제도 혹은 그 주변에서 자랐다. 17세기 초반부터 유럽 사람들은 육두구에 관심이 많았다. 육두구에 대한 유럽인들의 열정이 세계의 지도를 바꾸기 시작했다.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09

모든 단어는 우리가 부여하고자 했던 의미만을 남긴다. 우리의 삶은 점차 많은 것을 무의미하게 만들고 있다. 이것을 나는 ‘외로움’이라고 부른다.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18

"우리가 잘 아는 거예요. 그 안에 있는 것은 우리가 바라는 거예요. 각자 보고 싶은 것이 그 안에 있다고 생각하는 거예요. 사람들은 꿈대로 이야기를 만들지 않나요?"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27

다른 세상을 상상할 수 없다면 우리는 적응을 ‘행복’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행복은 우리가 지구에 드리운 그림자가 되어서 우리에게 돌아왔다. 코로나바이러스, 기후위기라는 이름으로.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30

내면에 깊게 뿌리 내린 다음 우리가 그 안에서 굳어져 그것에 따라 살게 만드는 것이 바로 이야기의 무시무시하고 엄청난 힘이다.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30

자네는 세계를 둘러봤잖나. 국립공원은 기준 중의 기준이야. […] 언젠가 이 나무, 이 숲, 이 모든 건물, 트레일, 야영장을 칠레에 돌려줄 생각이야. […] 그렇게 되면 이 나라의 국립공원 시스템이 커지겠지. 하지만 더 중요한 건 그렇게 해서 공원에 대한 기준이 더 높아지고 사람들이 공원에 대해 가지는 자부심이 강해지는 거야.22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34

자네는 세계를 둘러봤잖나. 국립공원은 기준 중의 기준이야. […] 언젠가 이 나무, 이 숲, 이 모든 건물, 트레일, 야영장을 칠레에 돌려줄 생각이야. […] 그렇게 되면 이 나라의 국립공원 시스템이 커지겠지. 하지만 더 중요한 건 그렇게 해서 공원에 대한 기준이 더 높아지고 사람들이 공원에 대해 가지는 자부심이 강해지는 거야.22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37

전에 없던 새로운 정체성을 주는 것이야말로 이야기가 주는 가장 큰 선물이다.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42

나는 일본 최초의 세계자연유산이자 미야자키 하야오의 애니메이션 〈원령공주〉의 배경으로 유명해진 야쿠시마 섬으로 여행을 가게 되었다. 내가 야쿠시마 섬에 대해 아는 것은 일주일에 8일 비가 내린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비가 잦아 세상의 거의 모든 이끼가 있다는 것, 사슴과 원숭이가 많다는 것, 열세 명의 사람이 안아도 다 안을 수 없다는 7천 년 된 조몬 삼나무가 있다는 것뿐이었다(야쿠시마의 농부 시인 야마오 산세이의 말에 따르면 조몬 삼나무는 자아와 욕망만 비대해진 우리를 말없이 바라본다고 한다).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4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Her latest book, Romantic Outlaws: The Extraordinary Lives of Mary Wollstonecraft and Mary Shelley (2015), won the National Book Critics Circle Award. - P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인생의 중요한 선택 중 포기와 관련되지 않은 것은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지금은 많은 포기들이 발명 중이다.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03

각자의 어두운 기억이 두텁게 쌓여가는 이 세상에서, 결국은 자신도 해치고 남도 해치는 에너지가 발산되는 이 세상에서, 누군가 ‘우리 모두의 것인 삶’에 대해 뭐라도 생각하고 있다는 것은 감동적이다. - <삶의 발명>, 정혜윤 - 밀리의 서재
https://www.millie.co.kr/v3/bookDetail/179628157 - P205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Furlong found himself not joining in the talk so much as keeping it at bay while thinking over and imagining other things. - P99

This was the man who had polished his shoes and tied the laces, who‘d bought him his first razor and taught him how to shave.
Why were the things that were closest so often the hardest to see? - P100

The snow was still coming down, although timidly, dropping from the sky on all that was there, and he wondered why he had not gone back to the comforts and safety of his own home- Eileen would already be preparing for midnight Mass and would be wondering where he was - bu this day was filling up now, with something else. - P101

Crossing the bridge, he looked down at the river, at the water flowing past. People said that a curse had been placed on the Barrow. - P102

Furlong carried on uneasily, thinking back over the Dublin girl who‘d asked him to take her here so she could drown, and how he had refused her;
of how he had afterwards lost his way along the backroads, and
of the queer old man out slashing the thistles in the fog that evening with the puckaun, and what he‘d said about how the road would take him wherever he wanted to go. - P103

He went on feeling not unlike a nocturnal animal on the prowl and hunting, with a current of something close to excitement running through his blood.
Turning a corner, he came across a black cat eating from the carcass of a crow, licking her lips. On seeing him, she froze, then fled through the hedge. - P104

Crossing the river, his eyes again fell on the stout-black water flowing darkly along- and a part of him envied the Barrow‘s knowledge of her course, how easily the water followed its incorrigible way, so freely to the open sea. - P105

A change, it seemed, was coming over the girl and soon she had to stop, and vomited on the street.
‘Good girl,‘ Furlong encouraged her. ‘Get it all up. Get that much out of you.‘ - P107

As they carried on along and met more people
Furlong did and did not know,
he found himself asking
was there any point in being alive without helping one another?
Was it possible to carry on along through all the years, the decades, through an entire life, without once being brave enough to go against what was there and yet call yourself a Christian, and face yourself in the mirror? - P108

How light and tall he almost felt walking along with this girl at his side and some fresh, new, unrecognisable joy in his heart. Was it possible thatthe best bit of him was shining forth, and surfacing?
Some part of him, whatever it could be called -was there any name for it? - was going wild, he knew.
The fact was that he would pay for it but never once in his whole and unremarkable life had he known a happiness akin to this, not even when his infant girls were first placed in his arms and he had heard their healthy, obstinate cries. - P109

He thought
of Mrs Wilson,
of her daily kindnesses,
of how she had corrected and encouraged him,
of the small things
she had said and done
and had refused to do and say
and what she must have known, the things which, when added up, amounted to a life. - P109

Design by Faber
Cover image: Pieter Bruegel the Elder,
Hunters in the Snow (Winter), 1565, incamerastock/AlamyAuthor photo © Frédéric Stucin/Pasco & Co - P11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71 | 72 | 73 | 74 | 75 | 76 | 77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