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르만 헤세, 음악 위에 쓰다
헤르만 헤세 지음, 김윤미 옮김 / 북하우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헤르만 헤세가 느꼈던 바흐의 음악 세계


"헤르만 헤세가 바라본 바흐의 수난곡"


바흐의 성가곡 중에 '마태수난곡'을 느끼게 구절이 많았다. 마태 수난곡은 헤르만 헤세의 소설 '데미안'에서도 나왔을 만큼 헤르만 헤세가 얼마나 그의 음악들을 좋아했는지 알 수 있었다. 마태의 수난곡은 곡을 모르는 사람이 들어도 그 웅장한 선율에 많은 사람들이 감동받는 곡이듯 아마 헤르만 헤세에게도 많은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수난곡 특유의 느낌과 헤르만 헤세의 글까지 성가곡과 함께 읽는다면 그의 감정 세계를 어느 정도 엿볼 수 있었다. 추가로 바흐의 대표 성가곡에는 [마태수난곡]과 [요한수난곡]이 있고, 둘다 신약성서의 마태복음과 요한복음의 내용을 담고 있다. 그가 바흐의 음악에서 느꼈을 감동과 영감을 느껴보며 바흐의 수난곡을 찾아 들어봤다. 


https://www.youtube.com/watch?v=-i1zYWB7ZnE&t=271s



여기서 귀 기울이고 함께 산 많은 이들 중 
대성당에 남아 있는 사람은 거의 없다. 
계속해서 누군가는 이 세상을 떠나고
구부정하게 걷고 나이가 들고 고단해지고 작아진다. 
젊은이들에 대해 이야기할 때 배신자 말하듯 하고 
환멸에 침묵하며 아비들 곁에 몸을 누인다. 
대성당에  들어서는 젊은이들은 
성스러움을 느끼기는 하나, 이제 기도하는 것도 
토카타를 듣 것도 관례가 아니다. 
사원은 남아 잇다. 한때 도시의 
핵심이자 중심이었던 것. 거의 버려진 채로. 
붐비는 골목 사이에, 태고의 세계처럼 덩그러니. 
-p.2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