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유사 - 현실과 환상이 만나고 다투다가 하나 되는 무대 클래식 아고라 2
일연 지음, 서철원 옮김 / arte(아르테)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삼국사기는 김부식이, 삼국유사는 일연 스님이 지었다는 정도만 알고 있다가 최태성 선생님께서 연오랑과 세오녀 이야기를 해주시면서 삼국유사와 삼국사기의 차이점에 대해서 또 삼국유사로 인해 삼국시대 역사의 다양성을 가질 수 있게 되었다는 등 삼국유사가 가진 의미에 대해서 소개를 해주신 적이 있었다. 최태성 선생님께서 전래동화마냥 이야기를 재미있게 소개해주셔서 일까? 삼국유사를 한 번 읽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는데, 감사하게도 서평을 통해 읽을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되었다.


---------------------------------------------------------------------------------

 


이책은 일연스님이 지은 삼국유사를 서철원 교수님이 번역하고 해설을 덧붙여 출간한 책으로 서철원 교수님은 정확한 번역보다는 잘 읽히는 번역을 추구하여 생략되거나 누락된 부분은 고딕체로 눈에 띄게 표시하여 되살리고 추가 설명이 필요할 때만 해설 단락을 추가하는 방식으로 독자들이 쉽게 읽을 수 있는데 중점을 두었다고 한다.

 

작가가 스스로 잘 읽히는 번역을 추구하였다고 이야기하니 어려운 한자어나 고어체로 인해 읽기 어려우면 어떡하나? 하는 걱정을 접어두고 재미난 설화같은 이야기들이 얼마나 담겨있을지 잔뜩 기대를 하고 읽기 시작했다.

 

굳이 순서대로 읽을 필요는 없고 읽고 싶은 부분부터 보면 된다고 하나, 처음이니 첫장부터 시작했다.

 

--------------------------------------------------------------------------------


우리가 이미 알고 있는 곰과 호랑이가 100일간 햇빛을 보지 않아야 사람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곰은 지켜 여인이 된 후 환웅과 혼인을 하여 아들을 낳게 되었고 그의 이름이 단군왕검이라는 고조선 건국신화가 먼저 소개되었다


그리고 역사책에서 이름만 잠깐 들어보았던 위만조선에 대해서도 마한에 대해서도 소개를 하고 있는데, 낯선 지명과 이름이 많이 나오는 반면 상세한 설명은 없어서 읽으면서 엄청 집중해야 내용 이해가 되었는데, 보충 설명을 보니 조금 더 이해가 쉬웠는데, 특히 기자조선에 대해서는 별다른 내용이 없었음에도 사대주의의 입장에서 조선의 성리학자들은 기자조선을 숭배했으나 20세기 이후 남북한 모두 민족주의의 성장에 따라 기자조선의 실체를 부정하고 있다고 한다.


우리가 역사책에서 고조선에 대해서 배울 때 꼭 포함되어 있는 8조법과 현재 남아있는 3개조문도 한서 지리지에서 은나라가 쇠퇴하자 기자가 조선에 와서 농사와 뽕나무 심는 법을 가르쳤다는 내용과 함께 낙랑 조선 혹은 낙랑 땅의 조선인들이 지켰던 8조의 법 가운데 3개를 소개하고 있는데 그 내용이 우리가 고조선의 8조법 중 현재 기록에 남아 있는 3개조문과 동일하다. 아마 중국의 기록에 남아 있는 우리 땅에 살던 사람들에 대한 기록이므로 고조선의 8조법 중 3개의 조문으로 가르치고 있는 것 같은데, 사실 중국의 기록에는 기자조선에 대한 기록으로 남겨져 있으니 당시 기록이 부족해서 정확한 것은 알 수 없으나 우리가 당연하게 배웠던 역사가 우리 아이들이 여전히 동일하게 배우는 역사가 사실은 우리나라 입장에서 우리의 전통성을 내세우기 위해 우리의 역사가 오래된 것임을 드러내기 위해 유리한대로 해석한 것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



차례대로 읽어도 좋지만 이후부터는 목차를 보고 읽어보고 싶은 내용부터 찾아서 읽기 시작했다. 각 이야기들은 보통 두 쪽 정도로 짧은 이야기이다. 연오랑과 세오녀 이야기, 선덕여왕의 3가지 예언, 온갖 풍파 물리치는 만파식적, 48대 경문왕, 처용과 망해사 이야기는 설화로서 재미도 있고, 실제 어떤 일이 일어났을까? 궁금증을 자아내기도 한다.

 

예전에는 설화는 그저 꾸며낸 이야기로만 생각했지만, 단군신화를 통해서 하늘을 숭배하는 부족과 곰을 숭배하는 부족, 호랑이를 숭배하는 부족이 있었는데, 하늘 부족과 곰부족이 혼인으로 연합하여 주변 부족을 정벌하고 그 과정에서 당시 막강한 힘이 있던 호랑이 부족도 정벌되었다는 것을 그렇게 세력을 넓혀 하늘 부족장이 여러 부족을 거느리게 되면서 나라를 세울 수 있게 되었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역사가들의 이야기를 들은 후로는 신화 속에서 진짜 역사를 엿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어떤 설화를 들으면 그 바탕에 있었던 실제 일어났던 일은 무엇이었을까? 어떤 마음들이 모여 이런 이야기로 전해졌던 것일까? 궁금한 마음이 많이 든다.

 

그리고 우리 전래동화인 콩쥐팥쥐와 서양의 신데렐라는 어쩌면 고약한 새어머니와 언니들, 그럼에도 불구하고 참 착한 주인공, 화려한 잔치가 열리고 가고 싶어하는 주인공들, 잔치를 연 재력과 권력을 지닌 남자가 주인공들에게 한 눈에 반하고 신발 한 짝을 잃어버리는 것까지 어쩌면 이리도 똑같을까? 늘 신기했는데, 경문왕 이야기를 읽어보면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는 서양의 전래동화와 동일하다. 대나무 숲에서 임금님 귀는 당나귀 귀~라고 외치는 것까지.

 

그 옛날에 서로 활발하게 문물과 이야기가 전해졌던 것일까? 그래서 서로 비슷한 이야기가 만들어진 것일까? 아니면 세상은 어디든 비슷하게 흘러가고 사람들의 생각도 비슷해서 비슷한 이야기가 만들어지는 것일까?


--------------------------------------------------------------------------------


 

삼국유사에는 짧막한 설화들이 참 많이 담겨있다. 풍부한 설명없이 해당 내용만 덩그러니 소개되고 있어서 다른 책에서 읽어보았거나 이미 알고 있던 내용이 아니라면 읽어도 ? 이게 끝이야?’ 싶은 이야기들도 많다. 하지만 그래서 몇몇 이야기는 더 찾아도 보고, 이야기에 나오는 절을 검색해보기도 했다


얼어죽을 뻔한 여인을 살린 정수 스님 이야기도 검색을 해보니 살을 덧붙여 동화로 만들어 놓은 자료가 있었다.


-----------------------------------------------------------------------------


책을 읽으면서 삼국유사에서는 사실 단군신화도 짧막하고 단순한 이야기일 뿐이지만 이 이야기에 살을 덧붙인 많은 책들을 봤기에 삼국유사 속의 짧은 글만 읽어도 풍부한 내용을 받아들일 수 있는 것처럼 삼국유사에 나오는 다른 많은 설화들도 관련 유적지나 지명과 함께 살을 덧붙여서 내용이 조금 더 풍부한 재미난 이야기로 재탄생되면 좋겠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다.


그리고 이런 설화를 잘 이용하면 해당 지역을 홍보하는 컨텐츠를 만드는데 매우 좋은 소스가 될 것 같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아 읽고 작성한 솔직한 후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