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풍의 언덕 (양장)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86
에밀리 브론테 지음, 김정아 옮김 / 문학동네 / 2011년 12월
평점 :
품절


친구와 소소한 이야기를 할 틈이 생겼는데, 문득 '나쁜 남자'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다. 폭풍의 언덕에 한창 빠져있을때라 친구에게 자신 있게 말했다. 요즘 텔레비전이나 영화에 나오는 나쁜 남자들은, 히스클리프에 대하면 아무것도 아니라고. 미디어가 만들어내는 나쁜 남자란 곧, 타인에겐 불친절하나 나에겐 한없이 친절하고 따뜻한 남자를 말하는 게 아닐는지. 그런 의미에서 폭풍의 언덕의 히스클리프는 '사랑'이라는 거대한 폭풍 속에 몸을 내맡긴 채 사랑하는 캐서린에게조차 따뜻하고 친절한 남자가 아니었다. 그래, 거대한 운명의 폭풍 속에서 너랑 내가 어떻게 되는지 몸을 내맡겨보자!! 라고 외치는 듯 한 느낌을 받았다. 적어도, 내가 책을 읽을 때 느낌 감상은 그랬다.

 

폭풍의 언덕속의 사랑이 이렇게 치열한 것이었던가. 내가 예전에 읽고 가슴 속에 깊이 간직해놓은 느낌은 대체 어떻게 된 건지. 아마 그 동안 세상의 여러 가지 것들을 체험한 것이 녹아들어 책을 읽는 내내 그대로 투영된 것이겠지. 그런 의미에서 캐서린의 선택과 고뇌가 깊이 파고들었다.

"내가 그 애를 사랑하는 건 잘생겼기 때문이 아니야. 그 애가 나보다 더 나 자신이기 때문이야. 그 애의 영혼과 내 영혼이 뭘로 만들어졌는지는 모르겠지만 어쨌거나 같은 걸로 만들어져 있어......모든 것이 사라진다 해도 그 애만 있으면 나는 계속 존재하겠지만, 모든 것이 그대로라 해도 그 애가 죽는다면 온 세상이 완전히 낯선 곳이 되어버릴 거야."(130p)

 

어렸을 때부터 함께 자라오면서 히스클리프를 사랑하다 못해, 내 자신의 또 다른 분신처럼 여기게 된 캐서린. 하지만 그녀는 현실과 이상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하는 갈림길에 서게 된다. 모두가 환영하는 린턴가를 선택할 것인지, 아니면 자신의 목숨만큼이나 소중한 히스클리프를 선택할 것인지.

 

우리 모두 사랑 앞에서 선택을 강요받지 않나? 적어도 결혼 적령기에 들어선 젊은 처녀라면 이런 고민쯤 한 번씩 하게 된다. 사랑을 택할 것인지, 현실을 택할 것인지. 고민은 여러 사람과 나눌 수 있지만, 선택에 따른 남은 인생은 오로지 나의 몫이기에 늘 치열하게 고민하는 것이리라. 결국 캐서린은 현실을 선택하고 영혼을 잃어버린다. 그리고 히스클리프는 찢어진 마음을 안고 캐서린 곁을 떠나 '성공'이란 무기를 짊어지고 다시 그녀 곁으로 돌아온다. 그리고 복수를 시작하게 된다.

 

하지만, 사랑하는 사람이 없는 복수란 자기만 갉아먹을 뿐이라 는걸 히스클리프는 잘 알고 있었다. 강인인한 모습으로 자신을 포장했지만, 늦은 밤에는 유령이 된 캐서린이라도 좋으니 제발 내 곁에 돌아와달라고 울부짖는 약한 남자가 보이는 것은 아마도 그 이유일 것이다.

 

한 가지 주목할 것은 이야기를 들려주는 사람은 하녀장 넬리라는 것이다. 원래 타인의 사랑 이야기란 곁에서 보는 사람이 받아들이고 이해하기라 따라 달라지기 마련이다. 만약 이 사랑 이야기를 히스클리프나 캐서린이 직접 들려주었다면 어떻게 달라졌을까. 치열했던 사랑이, 조금은 아름답게 느껴지진 않았을는지. 상상은 독자의 즐거움으로 남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