힌트는 도련님
백가흠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에 대해 이야기하기에 앞서, 백가흠 작가님과의 인연을 언급하고자 한다. 난생 처음 참가한 문학캠프에서 사회를 보던 분이 바로 백가흠 샘이였다. 사실, 그 전까지는 작품을 접해보지도 못하고, 알지도 못하는 작가였지만 부드럽게 사회보시는 모습에 반해버렸달까. 문학캠프 강연회 막간에 퀴즈가 진행되었는데 승부욕이 발동한 내가 손을 번쩍 들고 정답을 맞혔고, 그에 대한 부상으로 작가님의 책을 보내주겠다고 하셨다.

그렇게 받아든 '조대리의 트렁크'는 내게 충격 자체였다. 만약, 작가님을 먼저 만나지 않고 책부터 읽었다면 그렇게 충격이진 않았으리라. 하지만 부드러운 외모와 말솜씨(?)를 가진 분이 그렇게 거친 세계를 그려냈다는 사실에 충격 아닌 충격에 빠졌던 기억이 있다. 그때 리뷰를 살펴보면 작가님의 장편이 너무나 기다려진다, 는 끝맺음을 했더랬다. 작게 나뉜 이야기들로는 뭔가 성에 차지 않았었다. 좀 더 호흡이 긴 장편을 기대하는 건, 독자들 모두 같은 생각이였을거다.

그렇게 잡지나 혹은 문학계간지에서 간간히 마주치는 작가님의 장편을 기다릴 즈음,  단편집을 만났다. 내심, 전작과 같은 충격을 받을 거라 약간 설레기도(?) 했었다.(더운 여름이니만큼 뭔가 센 것을 기대했었다보다....) 하지만 책을 읽어나갈 수록 그런 기대가 조금씩 무너졌다. 대신, 책에 더 집중하게 되었다. 뭔가 더 센 것이 나올거야! 라는 일회성 관심에서 벗어나, 진짜로 작가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래서 더, 책에 빠지게 되었다.

오로지 책과 자기 안에 빠져서 세상 밖을 보지 못했던 교수('그래서')나 백도령이라 불리며 안 써지는 글을 써보려 이리저리 애를 쓰던 작가('힌트는 도련님')안에 자신의 모습을 조금씩 녹여낸 글을 읽어 내려가며 작가에 대한 이해를 넓힐 수 있었다. 작가라면 글을 쓸 때 누구나 고뇌하며 작품에 대해 깊이 생각할 것이다. 작품 안에 자신을 쓸 것인지, 혹은 작품과 작가를 배재할 것인지 늘 고민할 터 - 그 고민에 대한 힌트는, 아마 도련님이 아닐까.

그와 더불어, 사회를 바라보는 날카로운 시선 역시 멈추지 않았는데, 월남전 고엽제 피해자를 통해 그가 우리 사회로부터 어떻게 버려졌는지 생생하게 그렸고, 외국인 여성 '쯔이'를 통해 한국 남성 및 사회가 가지고 있는 이중적인 잣대가 그들을 어떻게 학대하고 있는지 그리고 있다. 내가 바라보던 시선과 그리 다르지 않았기에, 무관심한 내 자신을 다시 돌아보게 되었다.

단편의 장점은 그런 것에 있는 것 같다. 작가의 여러 가지 생각을 한 번에 마주할 수 있다는 것!  장편만 바랐던 내가 조금 부끄러워졌달까. 8편의 단편들을 읽어가며 작가와 이야기하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이제야말로 한발자국 작가를 더 이해하게 되었다고 자신있게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이제는 장편, 단편 가리지 않고 백가흠 작가의 글을 사랑할 수 있게 될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