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책 없이 해피엔딩 - 김연수 김중혁 대꾸 에세이
김연수.김중혁 지음 / 씨네21북스 / 2010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아~~~책을 읽으면서 이렇게 낄낄, 깔깔, 호호 웃어본게 언제던가. 휴일동안은 심각한 책보다 뭔가 가벼운 책을 읽고 싶었다.(아, 작가님들 오해 마세요. 그렇다고 이 책이 가볍다는건 아니에욤) 바쁘지도 않은 주제에 책 읽을 시간 없다고 이리저리 밀쳐놓은 책이 어느새 책상위 한가득- 게다가 전에 읽은 책은 미간 찌푸리고 오래, 그리고 너무나 집중해서 읽었던 터라 미간 찌푸림 없이 편안하게 읽고 싶은 책을 잡고 싶었다. 그리고 마침 이 책이 날 향해 손짓했다.

김연수님과 김중혁님 모두 내가 너무 좋아라하는 작가다. 두 분이 김천 출신에 아주 친한 친구 사이라는건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다. 몇 해전 어느 더운 여름날, 한 출판사에서 두 작가의 강연회를 개최한 적이 있었는데 그때 두 분의 우정이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그리고 어떻게 우정을 이어오고 있는지 세세히 말씀해주셨기 때문이다. 그 강연회때도 어찌나 배꼽잡고 웃어댔던지. 두 분의 우정이 부러웠고, 같은 길을 걸어가는 동무가 있다는게 부러웠다. 그런 두 분이 이름도 생소한 '대꾸에세이'를 책 한권에 엮어 냈단다. 

씨네 21에 영화를 소재로 두 작가님이 서로 번갈아가며 대화하듯 칼럼을 썼다. 서로 대화하듯이라...(예전에 에쿠니 가오리와 츠지 히토나리가 연애하듯 썼던 냉정과 열정사이가 생각났다. 아, 그렇다고 두 분이 연애한다는 뜻은 아닙니다;) 한 작가님이 질문을 던지면 다른 작가님이 그것에 대해 답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그 전에 썼던 칼럼을 신랄하게 비판하기도 하면서 칼럼을 이어간다. 씨네 21에 연재했기 때문에 영화 이야기만 가득할거라 생각하면 오산이다. 영화와 일상과 철학과 웃음이 진하게 묻어있기 때문이다.

나 역시 영화라면 환장하는 지하 영화인(이라 함은 아무도 인정하지 않지만 나 혼자 영화인이라고 생각하는)이기 때문에 좋아하는 영화가 나오면 혼자 추리닝 바람에 아침 일찍 조조영화를 즐긴다. 장르 불문, 국적 불문, 감독 불문, 좋은 소재의 좋은 내용이라면 모든 영화를 좋아라한다. 그러다 문득, 내가 좋아하는 작가들은 어떤 영화를 보고 어떤 영화를 좋아하는지 궁금해졌다. 그런 내 궁금증을 해소해준게 바로 '대책없이 해피엔딩' 되겠다.

김연수 작가처럼 <파주>를 보면서, 처제인 서우가 큰 눈을 동그렇게 뜨고 묻던 "왜 이런 일을 하세요"라는 대목에서 가슴이 먹먹해졌고, 김중혁 작가처럼 류승완 영화의 적절한 온도 때문에 그의 영화가 개봉하기만을 간절히 기다리는 나였다. 셜록 홈즈를 성룡처럼 그려놓은 영화를 보며 김연수 작가처럼 혀를 끌끌 찼고, 닌자 어쌔신을 보며 김중혁 작가처럼 어~~~허~~하는 감탄사 아닌 감탄사를 내뱉기도 했다.

내가 영화를 좋아하는 이유는, 단순하다. 영화를 보며 꿈꿀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아무리 100년까지 산다해도 죽어도 경험하지 못할 여러가지 일들, 그것들을 대리만족하는 가장 간단하고 간편한 방법이 좋은 영화 한 편 신나게 즐기는 것이기 때문이다. 두 시간의 짧다면 짧은 런닝타임에도 불구하고 인생의 모든 희노애락이 영화 한 편에 담겨 있으니 어찌 영화를 사랑하지 않을소냐. 그래서 두 작가님도 영화를 좋아하는걸지도 모르겠다.

어쨌든, 중혁 작가님이 말씀하신대로 인생사 모기향인 것이다. 빙글빙글 제자리걸음 하는 것 같지만 지금 자리보다 조금은 위쪽에 위치하는게 인생 살아가는 묘미겠지. 그 인생의 묘미를 제대로 알려주신 두 작가님께 너무 감사하다. 아무리 힘들고 어려움이 있어도 끝이 좋으면 다 좋은거다. 그래서 난 해피엔딩이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