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도하
김훈 지음 / 문학동네 / 200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은 비루하고, 인간은 치사하고, 인간은 던적스럽다. 이것이 인간의 당면문제이다. 시급한 현안문제다.'

장철수가 말한 저 문장에서 숨이 턱 막혔다. 요즘 내가 생각하고 있는 현안이 아니던가. 하나님이 당신의 모습대로 창조한 '인간'이란 것이 어쩌면 그렇게 비루하고 치사하고 던적스러운지. 하나님이 목적이 있어 창조한 것이라면 조금이라도 멋지고 깨끗한 부분이 있어야 하는게 아닌가.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 비루하고, 치사하고, 던적스럽다.

님아 강을 건너지 말랬어도
기어이 건너려다 빠져 죽으니
어찌하랴 님을 어찌하랴
-여옥의 노래

여옥이 목놓아 외친 '님'은 어쩌자고 강을 건넜을까. 그렇게 건너지 말라고 외쳤는데도 기어코 강을 건너간 것은, 혹시 강 너머에서 이곳과는 다른 세상을 만날 수 있으리란 기대 때문이 아니였을까.

비루한 인간들이 넘치고 넘치는 이 세상은 차마 눈뜨고 보지 못할 일들로 가득하다. 신문기사 문정수는 매일 그런 사건을 대하고 접한다. 개에 물려 죽은 어머니가 사라지자 그 행적을 향해 추적하다가 허망히 놓아버리는가 하면, 영웅으로 대접받는 소방관 박옥출이 백화점 화재사건에서 보석을 도둑질 하는걸 알고도 기사에 내보내지 않는다. 기사로 쓸 내용과 쓰지 못하는 내용이 마음 속에서 요동치고, 내보내지 못한 이야기를 밤늦게 노목희를 찾아가 쏟아낸다. 두서없이, 순서없이, 마음에서 내보내는데로.

노목희 역시, 타이웨이 교수의 '시간 너머로'를 편집하면서 자신의 시간을 되돌려보기 시작한다. 유화물감에 섞이지 못한 자신의 그림과 고향의 장철수, 그리고 그림물감을 사오지 못한 시골 초등학교의 아이들까지. 

모든 사람들이 모여들는 '해망'에서 비루하고 치사하고 던적스러운 인간사가 경계선없이 뭉뚱그려진다. 

'그는 인간의 존재를 표준으로 내세워서 이 세계를 안과 밖, 이쪽과 저쪽으로 구분하지 않았고, 사물과 풍경에 함부로 구획을 설정하지 않았으며, 그의 언어는 개념을 내세워서 사물을 무리하게 장악하려 들지 않았다.'

어쩌면, 작가가 말하려는 것이 이것 아니였을까. 개에 물려 죽은 아들을 버렸든, 혹은 화재현장에서 보석을 훔쳤든, 선배들의 소재를 불고 경찰서에서 풀려났든 그들 모두 이 세상 안에서 우리와 함께 살아가는 한 명의 '인간'일 뿐이라는 것.
우리는 모두 내가 살고 있는 이 곳을 넘어, 강을 건너 이상향을 향해 나아가고자 하지만 이곳이든 그곳이든 결국 같은 곳일 것이다. 잘못하면 강을 건너다 죽을수도 있다. 말도 안되는 비루하고 천한 사건들로 가득한 이 세상이지만, 결국 서로 몸을 섞으며 살아가는 곳이 바로 '이 곳'이 아닐런지. 비루하고 치사하고 던적스러운 인간들 사이에서 몸을 숨겨 다른 곳으로 가보려했던 나는 책을 덮는 순간 불편한 진실을 깨달았다. 저 강 너머는 없다는 것을.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과 다시 몸을 섞어 살아보겠다고 다짐한 것은, 이 불편한 곳에서도 '희망'이라는 것이 있기 때문일 것이다. 책에 등장하는 그들 모두 비참한 시간을 온 몸으로 겪어 왔지만 '해망'이라는 곳에서 다시 살아갈 힘을 얻는다. 그것이 비록 '해피엔딩'은 아닐지라도, 오늘에 이어 다시 내일을 살아갈 에너지를 얻기엔 부족함이 없을 것이다. 문정수의 육하원칙에 맞춘 신문기사에 등장하지 못하는 비루한 사건일지라도, 그들에게는 그들의 삶이 있다. 강을 건너지 못하고 이곳 세계에 다시 주저 앉았지만 말이다.

나는, 김훈 선생님이 말하는 '희망'을 책에서 읽고 보았다.
비록 인간은 비루하고, 치사하고, 던적스럽지만 말이다....그럼에도 살아갈 희망을 가진 존재인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