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플 오브 더 북
제럴딘 브룩스 지음, 이나경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한 권의 책 속에는 얼마나 많은 이야기가 담겨있을까. 특히나 그 책이 오랜 세월 많은 사람들에 의해 전해지고 보관되어 졌다면 말이다. 

서적보존 전문가 해나 히스 박사는 이스라엘의 고문서 학자 아미타이로부터 전화를 받는다. 1992년 보스니아 내전 중 유실된 줄 알았던 '사라예보 하가다'가 발견되었으니 그 책의 상태를 분석하고 보존하는 작업을 해달라는 내용이었다. 해나는 세상에서 가장 진귀한 책을 가지고 작업할 수 있는 기회라 생각하며 흔쾌히 제안을 수락한다. 한걸음에 보스니아로 날아가 사라예보 하가다의 페이지를 한 장 한 장 넘겨가며 사진으로 찍고 상태를 기록하던 해나는 몇 가지 특이한 점을 발견한다. 바인딩 사이에서 나비 날개 조각이 발견되고, 어느 페이지에는 소금물에 닿은 흔적이 있다. 또다른 페이지에는 붉은 와인 자국이 있고, 유월절 저녁 식사 장면에는 샛노란 옷을 입은 흑인 여인이 한 명 있는데, 그 페이지에서 실처럼 가느다란 하얀 털이 발견된 것이다. 해나는 오래된 하가다를 복원하면서 페이지마다 숨은 실마리를 찾아 책의 역사를 추적하게 된다.

책에 불을 지르는 곳에서는 결국 사람에게도 불을 지른다. -하인리히 하이네 

최근에 하가다를 지킨것은 사라예보 국립박물관의 무슬림 사서였다. 전쟁의 포탄 속에서도 진귀한 하가다를 지키려 폭탄속으로 뛰어든 용감한 사람이였다. 유대인의 책을 무슬림이 지켜내다니 신기한 일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유대인의 책 하가다를 무슬림이 처음 지켜낸 것은 아니였다. 해나가 책 속에서 발견한 여러가지 물질들로부터 추측된 하가다에 연관된 이야기는, 그 책 안에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책을 매개로 얽히고 섥혀 있는지 보여준다.

나치가 유대인을 억압하던 숨막히던 시절, 셰리프라는 무슬림은 자신의 신념에 위배되는 세상속에 정의를 실천하기로 결심한다. 그는 유대인 소녀를 온전히 구했을뿐 아니라, 하가다를 없애려는 나치의 계획에 온 몸으로 맞서 싸웠다.
하가다는 사실은 흑인 소녀의 손에 의해 창조되었고 그 창조물은 14세기 중반경 유대인, 기독교인, 무슬림이 평화롭게 공존하던 콘비벤시아 기간에 온전한 책의 형태를 띄게 되었다. 그 책은 강을 넘고 산을 건너 먼 땅으로 오게 되었고 책을 온전히 지키고자 하는 사람들의 노력끝에 전쟁통에도 살아남을 수 있었던 것이다.

원제 People of the Book은 아랍어 알 알키탑(Ahl al- Kitab)을 번역한 말로, '신성한 책을 따르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현재 우리는 이슬람, 무슬림, 유대인, 기독교로 나뉜 종교 전쟁으로 인해 멍들어있다. 하지만 각 종교들의 말씀을 따라가다보면 결국 우리는 신의 뜻을 따르는 사람들이 아닐까. 신의 신성한 말씀을 따르는 사람들이라면 유대인의 책 하가다가 아니라 신성한 신의 말씀이 적힌 하가다로 볼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작가인 제럴딘 브룩스는 책에 대한 애정과 동시에 사람들의 애정을 이 책에 표현했을지도 모른다. 모든 사람들이 지키고자 했던 단 한권의 책 하가다는 진귀한 책을 지키고자 했던 믿음과 동시에 사람에 대한 믿음과 사랑이 깃들어있는 것이리라. 그래서 이 책이 팩션임에도 불구하고 진한 감동을 주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