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은 아직 닫혀 있는데
이시모치 아사미 지음, 박지현 옮김 / 살림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대부분의 추리소설에서 범인은 작가가 만들어놓은 어딘가에 잘 숨겨져있다. 작가는 범인을 숨기기 위해 철저하게 노력하고 연구한다. 그리고 책을 읽는 독자는 작가가 숨겨놓은 범인은 과연 누구일지 알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추리소설의 매력은 거기에 있을 것이다-베일 너머에 숨겨놓은 범인이 누구인지 알아내려는 독자와, 진실에 다가가려는 독자를 막으려는 작가와의 숨막히는 머리싸움.

하지만 '문은 아직 닫혀 있는데'는 그런 공식을 뒤집는다. 책 머리에 범인과 범행방법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것이다. 머리가 어질어질해진다. 과연 히든카드를 먼저 내민 작가가 이 책을 어떻게 끌고 나갈 것인지 무척이나 궁금해지는 것이다.

대학 경음악부 '알코올중독분과회'의 멤버로 술을 좋아해서 친하게 된 동창들이 오랜만에 동창회를 갖는다. 그들은 한 동창의 형님이 운영하는 고급 펜션에서 하룻밤을 묵게 된다. 그들 모두가 묵을 수 있는 많은 방, 고풍스러운 방문 등 중세의 성을 연상시키는 고급 펜션에서 후시미 료스케는 치밀한 계획 끝에 후배 니이야마를 죽이고 완벽한 밀실 살인을 재현한다. 그리고 그 밀실이 열리지 않게 하기 위해 치밀한 작전을 펼친다. 닫힌 문 저 너머에는 과연 어떤 진실이 숨겨져 있는 것일까.

이 책의 매력은 '닫힌 문'에 있다. 후시미는 어떤 이유에 의해서 니이야마를 죽였다. 애써서 밀실살인을 만든 그는 어떤 이유에 의해서 다음날까지 문이 열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우선 그는 니이야마에 대해 잘 알고 있었고 알레르기 비염약을 먹이며 잠들도록 한다. 다른 사람들이 그가 잠들어서 못일어나는 것으로 착각하게 만든 것이다. 하지만 그것도 몇 시간뿐. 아무리 문을 두드려도 일어나지 않는 니이야마를 두고 사람들은 점차 혼란에 빠지게 된다. 도대체 그는 왜 일어나지 않는 것일까. 도대체 왜 문을 꽁꽁 걸어 잠근 것일까.

오래 전부터 밀실살인과 사람들의 반응에 대해 연구해 온 후시미는 자신의 계획대로 일이 흘러가길 바란다. 하지만 냉철한 이성으로 무장한 유카가 후시미의 계획에 계속 딴지를 건다. 후시미는 분과회 멤버들의 평범한 반응에 대해서만 조사하고 계획했던 것이다. 하지만 유카는 상황을 냉철히 분석하고 다른 사람들이 찾아내지 못한 것까지 알아내어 후시미의 목을 서서히 좁혀온다.

계속 문을 닫아두려는 후시미와, 문을 열려고 노력하는 유카. 그 숨막히는 심리대결은 마지막 '대화'부분에서 절정에 이른다. 후시미가 노력하여 만든 트릭은 결국 유카에 의해 밝혀질 것인가? 그토록 후시미가 문을 닫아두려고 했던 이유는 무엇일까?....숨막히는 그들의 대화 내용이 끝날때까지 독자들은 조용히 바라볼 뿐이다. 닫힌 문을 바라보면서.

한 가지 아쉬운 점은, 후시미가 니이야마를 죽인 이유가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점이다. 물론 그의 동기는 십분 이해가 되지만, 과연 그것이 살인에까지 이어져야 했을까....라고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 것이다. 아마 닫힌 문 너머에는 좀 더 감상적인 이유가 존재할 것이라 기대한 나에게도 문제가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폐쇄된 공간 속, 제한된 사람들로 이루어진 숨막히는 대결은 책을 손에 쥐자마자 책속으로 빨려들어가게 만드는 흡입력을 만들어 냈다. 범인이라는 히든카드를 먼저 내민 작가는, 더 치밀한 구조를 책 속에 숨겨놓았던 것이다. 그래서 독자들은 더욱 더 책 속으로 들어갈 수 밖에 없다. 닫힌 문 저 너머속으로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