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충
슈카와 미나토 지음, 이규원 옮김 / 노블마인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누구든 느껴봤을 것이다. 평소에는 상상도 하지 못할 악한 상황에 처하거나 그런 상황을 목격하게 되는 순간 목덜미를 타고 돋아나는 소름을. 소름이라고 표현하지만, 그 느낌은 벌레가 온 몸을 기어가는 듯하다. 손톱만큼 작은 벌레가 온 몸을 타고 돌아다니는 느낌. 그 불쾌한 느낌은, 수은충이 내게 한발짝 다가왔음을 알리는 것이리라.

슈카와 미나토는 수은충이 등장하는 7가지 상황을 책 한권에서 그리고 있다. 이야기가 따로 떨어져있는 단편이지만, 수은충이라는 벌레로 엮여있으니 결국 한 가지 이야기로 이어지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또한 인간이라는 존재가 얼마나 잔인하고 사악한지, 내면까지 들여다보고 있어 이야기의 흐름과 함께 '수은충'이라는 끔찍한 벌레를 직접 만날 수 있게 된다.

흔히 사회문제로 떠오르는 자살, 왕따, 탈선 문제와 함께 유령이라든지 혹은 다중인격까지 묘사하며 인간의 깊숙한 내면에 시선을 두고 있다. 하지만 그 시선이, 그저 가벼운 겉핥기 식이 아니라 힘있는 필체로 쓰여져 있기 때문에 더욱더 두렵고 오싹하다.

이야기는 총 7가지의 '날'로 진행된다. [고엽의 날]에서는 아내를 죽인 남편이 나온다. 흔히 죽은 아내가 남편에게 복수하리라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살인자는 세상의 심판과는 별개로 자신이 죽인 사람에게 평생 사죄하며 살아야 한다. 그래서 남편은 아내를 허리에 매달고 평생 살아야 한다. [대울타리의 날]에서는 죽은 손자를 영원히 살게 해주고 싶어 끔찍한 짓을 저지르는 할머니가 나온다.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아이에게 끔찍한 것을 먹이는 모정이 그저 소름끼치기만 하다. [박빙의 날]에서는 친구를 왕따시켜 처참한 몰골로 만들어놓고도 반성할 줄 모르는 콧대높은 아가씨가 나온다. 세상은 늘 승자의 편이라고 생각한 여자는, 결국 차가운 뒷골목으로 끌려가게 된다. 

어느 이야기든, 이야기가 끝나는 순간엔 여지없이 목덜미에 자그마한 소름이 돋는다. 이야기의 주인공들이 자신의 몸속에 벌레가 기어가는걸 느끼듯이. 책을 읽는 독자 또한 '수은충'을 간접적으로나마 느끼게 할 수 있는 작가의 여력이 와닿았다.

또한, 책에 등장하는 계절은 모두 겨울이다. 겨울은 춥고, 스산하고, 어둡다. 겨울바람이든, 겨울비든, 혹은 크리스마스든 겨울은 시리고 춥다. 아마 작가가 의도한 바도 있겠지만 책의 배경인 겨울과 수은충은 잘 어울린다. 눈이 아리도록 시린 겨울 바람과, 보는 것만으로도 가슴 저리게 하는 겨울비는 왠지 사람의 악함과 닮아있다. 우리가 마음속에 '악'을 품는 그 순간부터 마음속에는 차가운 겨울이 찾아오는 것일테니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