닉 혼비 런던스타일 책읽기
닉 혼비 지음, 이나경 옮김 / 청어람미디어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나는 늘, 다른 사람들이 어떤 책을 읽는지 궁금해한다. 못말리는 지식욕이 발동하기도 하지만, 시대의 흐름에 따라가려는(?) 이상한 의도도 있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읽는 책은 무엇인지, 그리고 내가 놓치고 있는것은 무엇인지 궁금해하며 수많은 친구들의 블로그에 기웃거린다. 그렇다고해서, 내가 베스트셀러에 오른 책을 빠짐없이 읽는 것은 아니다. 그저 수많은 책들이 쏟아져나오는 현재에, 좋은 책은 놓치고 싶지 않은 욕심이 있을 뿐이다. 그렇게, 나의 책사랑은 엉뚱한 곳에서 빛을 발한다.

그러다보니, 작가들은 어떤 책을 읽고 어떤 생각을 하는지 매우 궁금해졌다. 그래서 몇 안되는 기회지만, 작가들을 만날 기회가 있으면 꼭 질문한다. '요즘 무슨 책 읽으세요??' 이런 나의 궁금증을 풀어주려는듯 닉 혼비가 유쾌한 서평집을 냈다. 잡지 '빌리버'에 연재한 칼럼을 모은 이 책은 닉 혼비의 서재를 들여다보고 있는 느낌을 준다.

그저 딱딱하고 판에 박힌 리뷰를 기대했다면 오산이다. 닉 혼비는 그런 시시하고 후진 작가가 아니다. 싫은 책은 싫다고 말하고, 읽다가 집어던진 책이 있다면 그렇다고 말한다. 그런 그의 태도는 잡지 연재 중단이라는 중징계(?)를 불러일으키기도 하지만, 읽는 독자로 하여금 아, 시원하다~~라고 느끼게 한다. 

우리는 매일, 수많은 책들과 만난다. 친한 친구가 책을 선물해주기도 하고, 또는 신문에 실린 책광고를 보기도 하며, 서평단에 당첨되어 책을 받기도 한다. 내가 산 책 이외에는, 내가 접하는 모든 책에 다른이의 입김이 서려있는걸 알게된다. 그리고 그런 다른이의 입김에 압박을 받기도 한다. 정말 후진 책임에도 불구하고, 친구가 선물해줘서 혹은 서평단에 뽑혀서 받은 책이라서 서평을 후하게 줘야 하는 딜레마에 빠지는 것이다. 그런 점에 대해 닉 혼비는 이렇게 이야기한다.

'다만 책장을 넘기는 일이 진창을 걷는 일과 같아서는 안 된다는 말이다. 책의 존재 목적은 오로지 우리가 읽는 것에 있고, 읽을 수 없는 책이 있다면 여러분의 능력을 탓할 일이 아닐수도 있다.......부디, 제발 부탁이니 지루한 책은 내려놓도록. 결코 다 읽지 못할 테니까. 뭔가 새로운 다른 책을 시작하시라.'

그는 그의 이런 원칙을 잘 지킨다. 칭찬 일색인 서평이여도 읽기에 불편함이 있으면 가차없이 지적한다. 반면에, 아름답고 멋진 책은 열심히 칭찬한다. 그 책이 읽고 싶어지도록.

크리스마스 시즌이여서, 좋아하는 축구팀(아스날)의 경기가 있어서, 혹은 아이가 태어나서 등등의 이유로 책을 못읽은 달은 그렇다고 변명한다. 꼭 내가 친구에게 하는 푸념을 듣는듯 하다. 하지만 그래서, 더 친근하게 느껴진다. 

이제는 나도 닉 혼비처럼 독서노트를 작성해 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구입한 책과 읽은 책을 쓰는것부터 시작하면, 그 달의 독서성과가 나오겠다는 생각이다. 물론, 닉 혼비처럼 침대 옆 책장이 포화상태가 되서 저번달에 산 책이, 이번달에 산 책 아래로 묻혀갈지라도 말이다. 닉 혼비에 빠진 나는, 일단 그의 책을 모두 읽어볼 작정이다. 그리고 책을 읽으며 적어두었던 수십권의 책도 덤으로. 

수십권을 책을 사는만큼 읽지 못했다고 좌절할 건 없다. 책은, 언젠가는 나에게 기쁨으로 다가올테니 말이다. 닉 혼비의 말처럼, 책은 다른 어떤 것보다 훌륭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