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어프루프
에릭 윌슨 지음, 김진선 옮김, 알렉스 켄드릭.스티븐 켄드릭 원작 / 살림 / 2009년 4월
평점 :
절판


이혼율이 엄청난 우리네 현실을 볼 때, 이 책은 많은 것을 시사한다고 볼 수 있다. 역경에 처한 결혼생활을 신앙의 힘과 더불어, 용기와 사랑으로 위기를 극복한 부부의 이야기는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파이어프루프(fireproof): 형용사. 불에 타지 않는. 열을 잘 견디는.
  

소방관 캘럽은 소방관 대장으로서 젊은 나이에 고속 승진했다. 자신의 일에 자부심도 있고 주위 사람들에게 존경 받는 그지만, 집에서는 정반대의 상황에 처하게 된다. 아내 캐서린이 늘 그를 무시하고 사사건건 트집을 잡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결혼 7년차인 이들 부부는 위기에 처해있다. 남편인 캘럽은 캐서린이 자신을 무시한다고 생각하고, 아내 캐서린은 캘럽이 자신의 말을 제대로 들어주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사랑해서 결혼했던 그들이였지만 점차 멀어져가는 파트너를 보면서 절망에 빠진다. 집안이 평온하지 못한데, 직장에서 평온할리가 없다. 늘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면서도 집에서 위로받지 못한다. 그래서 그들은 극단적인 상황을 선택하려고 한다. 서로 이혼하면, 좀 더 편안해질거라고 생각한다. 바로 그때, 캘럽의 아버지는 아들에게 책자를 건네며 40일만 책의 내용대로 해보자고 한다. 책의 제목은 '사랑의 도전' 이다.

하루에 한 가지씩, 파트너를 위해 임무를 수행하는 방식을, 캘럽은 처음에 잘 이해하지 못했다. 될대로 되라는 마음으로 책의 도전과제를 받아들였는데 과제를 수행할수록 캘럽의 마음에 어떤 변화가 생긴다. 진심으로 하나님을 받아들이게 되고, 자신의 아내인 캐서린을 생각하게 된 것이다.

물론, 깨질대로 깨진 그들의 사이가 다정한 말 한마디, 꽃 한송이로 금방 회복될리는 없다. 그들은 서로를 믿지 못한지 너무 오래되었던 것이다. 하지만 캘럽은 소방관으로서 사람들을 구하며 깨닫게 된다. 사람들을 구하며 사명감에 불탔던 자신이 정작 외로움의 불길에 휩싸여 있던 캐서린을 구하지 못했다는 것을.

"절대 파트너를 홀로 내버려 두지 말라!"
화재현장의 가장 기본적인 방식이, 결혼 생활에서도 필요함을 캘럽은 깨닫는다. 그래서 자신부터 변화한다. 쓸데없는 인터넷 서핑을 줄이고 캐서린에게 헌신하기 시작한 것이다.

시몬스는 소금 통과 후추 통을 접착제로 붙여서 한 쌍이 되게 하더니 캘럽에게 보여 주었다.
"캘럽, 두 사람이 결혼한다는 것은 기쁠 때나 슬플 때나 부유할 때나 가난할 때나 건강할 때나 병들 때나 함께하기 위한 거잖아."
"나도 그 정도는 알아. 하지만 결혼이 방화벽은 아니잖아. 때로 화상을 입기도 하잖아."
시몬스는 접착제로 붙인 양념 통을 식탁 위에 놓았다. 그는 엄하고도 진지한 눈빛으로 대장을 똑바로 바라보았다. "방화벽이란 불이 절대 나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라 불이 날 때 그것을 견딜 수 있다는 뜻이잖은가."


힘들도 지친 자신들에게 최선의 선택은 '이혼'이라고 생각하는 부부들이 많다. 하지만 그들은 잊고 있다. 결혼서약시 기쁠때나, 슬플때나 파트너와 함께 하겠다는 약속을 말이다. 한 번 붙은 소금통과 후추통은 떨어질 수 없다. 떨어진다면 병도 함께 깨진다는걸 의미한다. 섣불리 이혼을 선택하기 전에, 자신을 먼저 변화시키는게 어떨까. 그리고 파트너를 돌아본다면 분명 위기의 결혼생활에 변화가 찾아올 것이다. 

그렇게 변한 결혼생활은 '파이어프루프'처럼 어떤 열에도 절대 깨지지 않는 강건한 방화벽을 만들어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