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사 오디세이
쓰지 유미 지음, 이희재 옮김 / 끌레마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마음 속으로 깊이 들어오는 진정한 책을 만나게 되면, 나는 꼭 책의 번역자를 다시 한 번 찾아보는 습관을 가지고 있다. '이런 멋진책을 알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라고 인사를 하는 것이다. 번역가란 그런 것이다. 작가와 독자 사이에 튼튼한 다리를 놓아주는 사람들.

하지만, 번역이 부실하다거나 작가와 소통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안타까움에 탄식하게 된다. 내가 외국어에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어서, 번역가 없이 원서를 줄줄 읽어내려갈 수만 있다면 책의 저자와 더 깊은 공감을 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도 하게 되는 것이다.

나와 같은 양가감정을 가진 이들이 매우 많았다는 사실에, 책을 읽어가며 놀라게 되었다. 그리고 번역가 역시 이와 같은 고민으로 하루하루 보낸다는 사실에도 놀랐다. 번역이라는 것은 비단 어떤 책을 자국어로 풀어 옮기는 일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나라의 문화와 역사를 자국으로 소개하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다른 나라의 우수한 문화나 과학 또한 번역가의 훌륭한 번역으로 인해 자국에 소개되고, 뒤쳐진 것에 거름 역할을 해서 더 훌륭한 것으로 발전하게 도와주기도 한다.

프랑스 번역사에 대해 소개한 이 저자는 번역에 대한 다양한 시각을 제공해 주었는데 번역에 대한 역사, 번역에 대한 논쟁, 번역에 열정을 바친 숨은 번역사들의 활약에 대해 자세하게 소개해주고 있다.

현재 우리가 가지고 있는 번역사에 대한 이미지와 달리 중세 프랑스에서는 번역사들이 머리말이나 후기를 통해 번역에 대한 자신의 생각, 그리고 작품에 대한 소개를 곁들이며 각광을 받았다고 한다. 번역은 창작의 또 하나의 분야로 잘나가는 번역가는 세상의 관심과 이목을 받았다고 하니 놀랍다.

하지만 잘나가는 번역가들 역시 책을 토씨하나 틀리지 않고 그대로 옮길 것인지, 아니면 번역가의 생각과 자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옮길 것인지 고민이 많았다고 한다. 그래서 '부실한 미녀' 논쟁에 휩싸이기도 했는데 말 그대로 겉은 화려하나 내용은 그저 그런 번역들이 판을 치기도 했던 것이다.

중세를 넘어오며 그리고 현재에도 번역가들의 위치는 중세만큼 대접받지 못하는데, 그저 남이 쓴 것을 옮길 뿐이라는 생각에서 그렇게 된 것이다. 작가는 번역가로서, 그리고 프랑스 번역사를 연구한 학자로서 그 점을 매우 안타깝게 생각했는데 나 역시 그렇다. 현재 우리가 읽는 책의 절반 이상은 번역서일진데, 그 책들을 읽을 수 있는 것은 숨은 번역가의 힘과 노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번역가의 노력에 대해, 그들의 위치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봐야 할 것이다.

프랑스 번역에 대해 읽어 내려가며 우리 나라의 번역사에 대해서도 알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번역'이라는 흥미로운 분야에 대해서도 더 큰 호기심이 생겼다. 그저 어떤 외국 작품을 글로 옮기는 수동적인 분야가 아닌, 넓은 혜안을 가진 번역가는 자신의 생각과 시대상을 반영하여 책을 옮긴다. 능동적인 분야인 것이다. 앞으로 번역서를 볼 때면 번역가를 더 유심히 관찰하여 책을 읽어내려갈 것만 같다. 그들은 진정한 의미의 창조가이기 때문일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