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텐베르크의 조선 1 - 금속활자의 길
오세영 지음 / 예담 / 2008년 4월
평점 :
품절


2005년 5월 19일 서울 디지털포럼 2005에 참석한 엘 고어는 이렇게 말했다.
"서양에서는 구텐베르크가 인쇄술을 최초로 발명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그것은 사실과 다르다. 이는 당시 교황 사절단이 한국을 방문한 뒤 얻어온 기술이다. 구텐베르크가 인쇄술을 발명할 때 교황의 사절단과 이야기했는데, 그 사절단은 한국을 방문하고 여러가지 인쇄기술 기록을 가져온 구텐베르크의 친구였다....한국의 디지털 혁명은 역사적으로 보면 두 번째로 획기적이고 혁신적인 기술 발전에 기여하는 사례가 될 것이다. 전 세계가 한국으로부터 인쇄술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혜택을 보게 되는 것이다."

내가 갖고있는 짧은 역사적인 지식으로 우리나라의 금숙활자가 구텐베르크보다 200년 앞서 있다고 알고 있지만, 구체적으로 어떻게 앞서 있는지 그리고 그 기술은 어떠한 것인지 알지 못했다. 다만, 훌륭한 기술이 서양보다 앞섰다는 사실에 뿌듯해했을 뿐이다.

작가는 조선의 금속활자가 어떻게 서양에 전수되고 그것을 어떤 방식으로 발전시키는지 픽션과 더불어 자세히 묘사하고 있다. 장영실의 수제자 '석주원'이 바로 조선을, 한국을 대표하는 인물로 등장하는 것이다. 

세종은 훈민정음을 만들고 그것을 보급하기 위해 인쇄술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책이 없으면 결국 글을 퍼질 수 없는 법이다. 주상의 밀지를 받고 중국으로 건너간 장영실과 석주원은 향동활자를 만들 기회를 포착하지만 음모에 빠져 결국 헤어지게 된다. 석주원은 사마르칸트를 걸쳐 마인츠로 가게 되고 그곳에서 구텐베르크를 만나 아연활자보다 한층 우수한 향동활자를 만들어내고 인쇄술의 꽃을 활짝 피우게 된다.

늘 조선을 그리워하는 석주원이지만 오스만투르크 제국의 차단에 막혀 고향으로 돌아갈 기회를 놓치게 되고, 결국 인쇄술이 꽃필 수 있도록 자신의 모든 열정을 바친다. 그것은 주상이 바라던 모든 백성들을 위한 글과 책을 만드는 뜻과 부합한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는 천년제국의 몰락의 중심에도 서보았고, 이탈리아 메디치가의 음모의 중심에도 서있었다. 그런 세월의 풍파를 지나면서 석주원이 느낀 건 장인의 자부심과 인쇄술의 발전이였다.

'활자로드'라고 불러도 손색없을만큼, 석주원이 그려나간 행로는 다양했다. 고려시대 때부터 발전한 우리의 활자는 서양의 르네상스를 이끌어나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쇄술의 발전을 이끌었다. 그래서 책을 읽는 내내 자랑스러운 마음을 감출 길 없었다.

엘 고어의 말대로 현재 우리나라는 IT 산업의 중심에 서있고, 또한 그것으로 세계에 큰 영향을 주고 있다. 그 원동력은 구텐베르크보다 200년이나 앞선 금속활자에 있지 않을까 생각해보았다. 부족하고, 채울 것 많은 한국이라 말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선조들의 지혜만 잘 배우고 습득한다면 석주원이 그랬던 것처럼, 세계의 넓은 무대에 서도 두려움이 없지 않을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