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덴의 악녀
페이 웰던 지음, 김석희 옮김 / 쿠오레 / 2008년 3월
평점 :
품절


이 책에는 요즘 주위 어디에서나 흔히 듣고 볼 수 있는 '불륜'이 등장한다.
책의 주인공 루스가 버림받는 과정 또한 눈에 보듯 뻔한데, 잘생긴 그의 남편은 못생기고 덩치 큰 루스와 결혼한걸 일종의 수치로 여기고 늘 멸시한다. 그러다 소설을 쓰며 우아하게 살아가는 메리 피셔를 만나게 되고 루스와의 사이에는 없었던 '불같은 사랑'을 하게 되며 루스를 버리게 된다. 열심히 살림하고, 아이들을 키우며 남편만에게 헌신하던 루스는 말 그대로 헌신짝같이 버려지게 된다.

나는 복수를 원한다.
나는 힘을 원한다.
나는 돈을 원한다.
나는 사랑을 원한다. 하지만 그 대가로 사랑을 주지는 않겠다.

루스는 다짐한다. "당신은 악녀야"라고 소리치며 떠나간 남편을 향해 진짜 악녀가 되기로 결심한 것이다. 그러면서 그녀는 자시 자신을 향한 변화를 시작한다. 그리고 남편과 메리 피셔를 향한 소리없는 복수도 시작된다.

그러면서 그녀는 사회안에 잠재되어 있는 모순을 향해 한걸음씩 내딛는다. 가진것은 하나도 없으면서 아이만 셋씩이나 낳아 생활고에 허덕이는 젊은 여자에게는 차라리 아이를 팔아버리라고 일침을 놓고, 자신과 사회에게 늘 금욕적 생활을 할 것을 주장한 신부를 쾌락주의로 몰아넣는다. 안과 밖의 모습이 다른 판사의 집에 가정부로 들어가서는, 그녀의 목적을 위해 판사의 사디즘을 기꺼이 받아들이기도 한다. 그러면서 그녀의 분홍색 눈동자는 점차 빛나기 시작한다. 

그리고 열심히 모은 돈을 그녀는 자신의 모든 것을 성형하는 고통을 받아들인다. 큰 몸이 싫어서 허벅지의 뼈까지 잘라내는 그녀. 그런 그녀를 보며 나 또한 소름이 돋는 것을 느낄 수 있었다.

그런 그녀가, 마지막에 자신을 위한 선택을 했으면 얼마나 좋았을까...라는 씁쓸한 생각을 해보았다. 자신의 남편과 메리 피셔를 향해, 그리고 늘 자신에게 불리한 잣대를 내밀었던 사회를 향해 독설을 내뱉은 그녀가 마침내 아름다워지게 된 순간 그녀는 다시 보보를 불러들이게 된다. 초라하고 초췌한 그를 곁에 두고 지배하는 기쁨을 느끼기 위해서라지만, 왠지 씁쓸한 뒷맛은 어찌할 수 없었다.

차라리, 모든 것을 마음대로 바꿔버린 그 후부터 좀 더 자신을 사랑하는 루스로 돌아갈 수 없었을까라는 아쉬움이 들었다. 메리 피셔가 살던 등대탑을 사들이고, 그녀가 부리던 가르시아를 다시 부리고, 보보를 곁에 두고 마음대로 부리는 결말은...왠지 가슴 아프기까지 했다.

'악녀'는 누가 만드는 것일지 생각해보았다. 사회가 바라보는 악녀는 그저 못생기고, 어두운 곳에 숨어사는 여자들을 말하는것 아닐까? 예쁘고 날씬하고 돈 많은 여자들을 악녀라고 부르진 않을 것이다. 그런 의미에도 루스가 보여주는 복수극은 정당하다고 할 수 있겠지만, 뼈를 깍는 고통을 감수하면서까지 그녀가 이룬 결말은 내 마음을 움직이진 못했다. 오히려, 그녀가 아름다운 얼굴로, 메리 피셔를 능가하는 소설가가 되었다는 결말이, 더 설득력 있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