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의 투쟁 - 조선의 왕, 그 고독한 정치투쟁의 권력자
함규진 지음 / 페이퍼로드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이라고 생각하면 모든 것을 좌지우지 할 수 있는 절대권력자가 떠오른다. 내가 마음먹은대로 나라를 이끌어가는 절대군주. 하지만 이 책에서 그리는 왕은 그렇지 않다. 제목에서 보여지듯 정치투쟁의 한가운데 서있는 외로운 존재인 왕. 그들의 투쟁의 역사가 조선의 대표적인 네 명의 왕에 의해 그려지고 있는 것이다.

<세종>
훈민정음 창제라는 커다란 과업으로 후대에까지 칭송을 받는 성군. 세종으로 인해 조선의 한 기틀이 잡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세종은 모범적인 왕이였다. 적재적소에 인재를 배치해 정치에 적절한 균형을 잡아왔고, 자신은 신하들도 딴지를 걸지 못한 획기적인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음악, 과학, 그리고 문학에 기틀을 잡아갔다. 하지만 안으로 잡힌 기틀을 바탕으로 세력확장을 노렸다면 지금 우리나라의 지도가 바뀌지 않았을까? 

<연산군>
폭군으로 이름을 알린 왕. 공포정치로 신하들과 백성들을 고통의 늪으로 밀어넣었다고 후대에까지 폄하받는 왕. 그도 처음부터 그런 것은 아니였다. 태평한 세월, 신하들이 사소한것까지 트집잡으며 왕을 견제할 것이 아니라, 조화롭게 정치를 이어나갔다면 어땠을까 생각해보았다. 그럼 무인 기질이 다분했던 왕은 태평한 세월을 기반으로 삼아 우리나라의 세력확장에 더 힘쓰지 않았을까?

<광해군>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의 절대절명의 순간에서 사지를 떠돌며 백성들을 살피고 의병을 일으키던 젊은 세자. 하지만 그는 세자가 되기까지, 또한 왕이 되기까지 너무나 많은 정쟁과 의심속에 살아야했다. 그래서 매순간 자신의 '안전'을 염두에 두어야했고 그런 나머지 계모이지만 자신의 어머니까지 유폐하는 일을 저지른다. 후대엔 그의 중립정책이 다시 재평가되고 있지만 그가 자신의 안전에 힘쓰는 대신, 자신을 믿을만한 사람으로 변화시켰다면 우리나라의 모습은 지금과 다르지 않았을까?

<정조>
최근 여러 케이블 tv와 연속극에서 정조에 대한 사극이 방영중이다. 개혁군주로 당당히 시작한 정조. 처음엔 영조의 탕평책을 적절히 변화시켜 당파 싸움을 최소로하고 여러가지 정책을 개혁하며 개혁군주의 모습을 보여주던 정조는 결국 전제군주의 모습으로 바뀌어간다. 왕권을 강화시키기 위해 자주 행정을 교체하던 그는 결국 불안한 시국속에 스러져간다. 정조의 개혁정치가 끝까지 빛을 밝혔다면 어땠을까?

네 명의 왕은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가지고 있다. 사극에서 그려지는 온화한 모습만이 아닌 자신의 자리를 지키기 위해, 또는 개혁을 이루기 위해 끊임없이 고뇌하고, 신권과 부딪치는 왕의 투쟁이 존재해왔던 것이다. 다만 그 방식에 따라 후대에 폭군이냐, 성군이냐 분류가 되는 것 같다.

기본적으로 왕은 자신보다는 백성과 나라를 생각하며 모든 것이 제약된 삶을 살아왔다. 옆나라 중국이나, 이슬람 국가만 보아도 자신의 취미를 위해 만백성을 쥐어짜던 모습과는 사뭇 다르다고 할 수 있겠다. 경연을 열어 신하들과 교류를 하고 지방 유생들에게 상소를 받아 만백성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려 했던 왕들. 그들의 모습에서 인간적인 면모를 보았다면 나만의 착각일까? 다만 성리학에 기초해 다른 문물을 배척하고 안으로만 숨어들어 '조선'이란 시대를 암흑기로 만들었다는건 매우 안타깝다. 그래서 저자 역시 왕들의 투쟁을 그리며 아쉬운 점을 함께 나열하고 있는 것이리라.

네 명의 왕을 함께 비교분석하며 그들의 투쟁을 엿보는 동안, 왕들의 여러면을 이해할 수 있었다. 단편적으로 왕을 미화한다던지, 폄하하기보다 왕이 보여준 여러가지 모습과 함께 조선시대를 이해할 수 있어 유익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