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경란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11월
평점 :
품절


 
사랑이 깊이 빠진 사람과, 미식가 사이에는 많은 공통점이 존재한다.

 

사랑하는 사람을 눈앞에 둔 그는 눈이 반짝반짝 빛나며, 얼굴에 기쁨이 충만하게 어려있다. 미식가 또한 같은데, 자신이 정말 먹고 싶은 음식을 눈앞에 두면 그 음식에 대한 기대와 기쁨으로 얼굴이 반짝반짝 빛나게 된다.

그리고 또 하나, 사랑에 빠진 사람과 미식가 사이에 중요한 공통점 중 하나는 바로 <혀>라고 할 수 있다.

 

"사랑해" 라는 말, "네가 있어서 다행이야" 라는 말...모두 를 통해 몸 안에서 바깥으로 뱉어지게 된다. 미식가가 음식을 맛 볼 때 또한, 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혀의 앞부분에서 뒷부분에 이르기까지 모든 면을 이용하여 음식의 맛을 음미하기 때문에 그렇다.

 

요리사인 지원에게 있어 혀는 특히 더 중요한데, 사랑했던 한석주와 함께 이야기하고, 사랑을 나누고, 맛있는 음식을 나눠 먹었던 기억들이 모두 혀와 함께 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사랑이 끝났을때 그녀는 미각을, 식욕을 잃어갔고 반대로 분노를 느낄때는 여러 음식들을 먹어치웠다.

 

사랑은...끝날수도 있고 현재진행형 일수도 있다. 사랑을 계속하는 사람이나 끝난 사람이나 추억은 언제나 존재하고, 추억은 각자 사람마다 무의식중에 존재하다가 어느 순간 불쑥불쑥 꺼내지기 마련이다. 요리사 지원에게 그 추억은 음식, 그리고 와 연관되어 있고 그녀는 자신의 이야기를 담담히 서술하면서 그와 관련된 여러가지 음식 이야기도 함께 하고 있다.

 

책의 곳곳에 서술된 음식을 상상하며 단순히 좋아할 수 많은 없었던 것이 그 음식 안에 그녀의 마음과, 추억이 섞여있기 때문에...그리고 그녀와 같이 음식을 만들며 나 또한 가슴이 아팠기 때문에 군침을 흘리기보다는 눈물을 흘릴 수 밖에 없었다.

 

지원은 한석주를 기다린다. 자신보다 훨씬 아름답고 많은 것을 가진 이세연과 사랑에 빠진 한석주를 기다린다. 돌아올 거라고...그렇게 믿으며 기다린다. 어느 한 쪽의 마음이 변하지 않으면 모든 게 예전처럼 돌아갈 거라고. 하지만 한석주는 돌아오지 않는다. 오히려 잡지 속에서 세연과 꿀을 바른 손을 맞대고 활짝 웃고 있을 뿐이다. 자신과 함께 하자고 약속했던 바로 그 집에서.

이제 지원은 한석주를 기다리지 않는다. 돌아오지 않는 그에게 마지막으로 대접할 혀요리를 준비할 뿐이다. 그 혀 속에는 지원과 한석주가 함께 나눈 사랑이 있었고, 맛있는 음식을 나누어 먹던 추억이 있고, 한석주가 "사랑해"라고 말하던...그러나 결국 변하고 말았던 사실들이 숨어있다. 그런 혀 요리를 마지막으로 준비한다. 최고로 멋진 재료들과 함께...

 

사랑은 결국 변한다. 혀 속에 숨어있는 미각 역시 변할까?

사랑에 상처입은 사람들은 겉보기엔 그 상처가 잘 아문듯 보이지만 그 상처를 가만히 들여다보면, 고름이 흐르고 있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고름이 흐르는 음식을, 혀가 받아들일 수 있을까? ......사랑이 변하고 미각이 변하면 과연 살아갈 수 있을까??

 

지원과 함께 마지막 요리를 준비하며 그녀의 마음을 잘 이해할 수 있었다. 그래서 마지막 혀 요리를 지원과 함께 눈물을 흘리며 음미할 수 있었다. 그녀에게 있어 혀는 사랑하는...맛보는...그런 중요한 곳이니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