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해는 참 풍성한 것 같다. 여기저기 강연회며 낭독회며 북콘서트까지....
작가들과 만날 기회가 많아 독자로서 너무 행복하달까.

특히 너무나 좋은 한국 작가들을 많이 알게되고, 가까이에서 보기까지 하니 얼마나 행복한지 모르겠다.

 

12일 홍대앞 카페 이리에서 조경란 선생님의 낭독회가 있었다.

다른 낭독회와 조금 다른점은, 책이 출간되자마자 바로 열린 낭독회라는 것과 뮤지컬 배우 배해선님이 사회를 봤다는 점이라고 하겠다.

 


<맘마미아>때 오페라 글라스로 뚫어져라 쳐다보던 바로 그분이 내 눈앞에 있다니!

얼굴도 조막만하고 어찌나 이쁘시던지...캬아아>_<

 

 


배우 배해선의 축가-라는 순서도 있었는데 두 곡이나 열창해주셨다.

한 곡은 맘마미아에 삽입됐던 <I Have a Dream>이란 곡이였고 마지막 순서엔 카펜터즈의 <Top Of The World>였다. 낭랑한 목소리로 열창하는 모습이 어찌나 이쁘던지....게다가 말씀도 잘하셔서 자칫 가라앉을 수 있는 분위기를 그때그때 되살려주셨다.

 

 


6년만에 나온 장편 <혀>의 내용은 이러하다. 요리사 지원은 7년동안 동거한 남자친구가 있다. 하지만 그 남자친구가 다른 여자를 사랑하게 되고, 그녀에게 이별을 고하게 되며 그들의 관계는 새로운 국면을 맞이한다. 사랑이 전부라고 믿었던 여자, 그리고 배신...그 속에 버무려지는 요리 이야기들....와~~정말 재미있을거 같다.

 

얼굴도 예쁘시고, 말씀도 사근사근 예쁘게 하시는 조경란 선생님. 독자들의 짓궃은 질문에도 조리있게 잘 대답해주셔서 깊은 인상을 받았다. 어떤 남자 독자가 "소설을 왜 읽는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대답에 "외로움을 달래주니까요" 라고 대답하셨을땐 깜짝 놀랐다.....왜냐면 나도 쭉 같은 생각이였기 때문이였다. 소설을 읽는 진짜 이유는 내 외로움을 달래주기 때문이 아닐까하고 말이다.

 

2004년 마지막 소설집을 내고 3년동안 지독한 슬럼프였다고 한다. 여기저기 여행도 다녀보고 구상도 해봤지만 뜻대로 안되셨다고. 그때 카프카의 말이 떠올랐다고 한다. [책상앞에 앉지 않는 작가는 작가가 아니라는...] 그때 퍼뜩 깨닫고 몇달동안 집중해서 쓴 책이 바로 <혀>란다. 지독한 슬럼프를 떨치게 만들어준 책이라니...어떤 내용일지 더 궁금해졌다.

 

유난히 소설 제목에 음식을 연상시키는 제목이 많은 이유에 대해 물으니 96년 신춘문예에 당선되고도 원고청탁이 없어 거의 백수처럼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몸을 좀 움직여야겠다는 생각에 제빵학원을 다니게 됐고, 거기서 <식빵 굽는 시간>이 탄생하게 되었다고. 12년전부터 혀에 관한 책을 쓰고 싶었다고 밝히셨다. 그리고 사랑에 벼랑 끝까지 몰린 여자의 심경도 그리고 싶으셨다고. 청춘의 한 시절과 그와 동시의 자신의 청춘도 담겨있다는 혀....과연 어떤 모습들이 담겨있을까?

 


 

아직 책을 읽기 전이지만 너무너무 읽어보고 싶어져 야금야금 펼쳐보고 있다. 작가가 설명해준 부분들이 나올땐 '아 그렇구나...'라는 이해와 함께.

 

작가는 자신의 생각을, 독자는 작가의 생각을 교환할 수 있는 이런 자리는 참 뜻깊은것 같다. 시간이 되는 한, 좋은 강연회에 열심히 다녀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이런 자리에서는 얻는것이...더 많은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