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거서 크리스티 읽기 - 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
설혜심 지음 / 휴머니스트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은 책보다 tv 시리즈로 먼저 알게 되었습니다. 미스마플은 귀여운 외모의 나이 많은 할머니,귀여운 챙이 있는 모자를 쓰고서 언제나 호기심 가득한 표정과 눈으로 상대의 말과 행동을 주시하고 사건을 해결하는 모습 때문에 드라마를 몇 번을 보았는지 모릅니다. 뜨게질을 하느라 바쁘게 손을 움직이는 모습도 생각납니다.1900년대 영국의 당시 시대를 담은 집과 마을, 자연 경관 등도 빼놓을 수 없었습니다. 

특이한 성격과 맛있는 음식에 대한 탐닉, 흐트러짐 없는 옷차림 등을 하고 있는 콧수염의 포아로의 사건을 해결하는 모습.


같은 책을 어릴때 읽는 것과, 어른이 되어서 다시 읽어 보는 것이 다르듯이 배경지식이 없는 사람이 책을 읽는 것과 있는 사람이 읽는 것이 다릅니다. 그런 면에서 작가가 영국사를 전공한 역사가임을 고려해 볼때 그의 시선을 통해 영국의 역사가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안에 어떤 식으로 그려지고 있을지 기대가 됩니다.


애거서 크리스티는 '범죄의 여왕', '미스터리의 여왕'이라는 별명 답게 세계적인 작가입니다. 66권의장편 소설과 14권의 단편집을 포함, 100여권의 책을 출판, 100여개의 언어로 번역되었다고 합니다. 2018년 기네스 세계기록에 역사상 책이 가장 많이 팔린 소설가로 이름을 올릴 정도로 유명한 베스트 셀러 작가입니다.


애거서의 작품은 당시 다른 추리작가들에 비해 높이 평가 받는 것은 아니었다고 합니다. 인위적이거나 현실세계를 외면한 감상적인 세계관이라는 비판이 듣기도 했다고 합니다.하지만 작가는 애거서의 작품의 등장인물이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평범한 인물들이기 때문에 훨씬 더 현실적이고, 실재적이라고 말합니다.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은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영국사를 전공한 역사가인 저자가 역사가의 관점으로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들은 16가지 테마로 분석하였습니다.



추리소설의 주인공인 탐정의 탄생은 어떻게 시작되었을까? 첫번째 탐정편에선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 속 탐정인 푸아로와 마플에 대해 이야기합니다. 또한 그녀의 작품 속 탐정은 영국의 사법체계를 옹호하는 성향을 지니고 있음을 말합니다.

p.23 이와 관련해서 애거서는 푸아로를 창조하던 당시를 회고한 적이 있다. 그때까지 자신이 진심으로 감탄했던 탐정은 셜록 홈스가 유일했지만, 감히 경쟁할 엄두가 나지 않았다. 하지만 다른 탐정들은 자기 취향에 맞지 않았고, 무엇보다 지금까지 한 번도 본 적이 없는 캐릭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했다는 것이다. 당시 벨기에 인의 특성을 감안하여 푸아로를 벨기에 인으로 설정했다고 한다.

p.29 제인 마플은 1927년 단편에 처음 등장했다가, 1930년 <목사관 살인사건>에 정식으로 데뷔시킨다. 그녀의 모델은 이모할머니의 친구들이라고 밝히기도 했는데, 마플은 생계를 위해 사는 사람도 아니고, 결혼을 원하거나 로맨스를 꿈꾸는 사람도 아닌,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며 '여성적 직관과 감정'을 내세워 인간의 심리를 파헤치고 상황을 꿰뚫어보는 인물로 그리고 있다.

애거서의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집. 두번째  편에선 영국 사람들의 집에 대한 생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었습니다. '영국인에게 집은 성'이다'라는 격언, 20세기초에 등장한 시 중 '독일인은 독일에 살고 로마인은 로마에 살고 튀르크인은 튀르크에 산다. 그러나 영국인은 집에 산다.', 또한 대 항해 시대때 신대륙을 발견하고 영국인들은 도착하자마나 집을 짓고 울타리를 쳤다는 이야기를 보면 알 수가 있듯이 집에 대해 '집착'이 강하다는 걸 알 수 있습니다.


 미시사편은 특히 더 흥미로웠습니다. 역사가로서의 작가가 애거서의 작품들 중 미시사의 관점으로 쓰여진 부분들을 설명하는 부분인데 개인적으론 무척 흥미롭고, 관심있게 읽은 부분이었습니다. 현미경 보듯 작은 규모 안에서 속을 들여다 보는 미시사.거시사와 미시사에 대한 차이. 애거서의 소설은 "그 작은 공간에 '직접 들어가서' 그 안을 꼼꼼하게 살피는 모습을 재현"한다고 말합니다. 거기다가 미시사의 특징 중 하나가 소외된 사람들의 삶을 주목하는 것인데, 애거서의 작품에서 등장하는 하인들과 노인들을 이야기해줍니다. 


이처럼 제국주의를 문화적 현상으로 보자면 '식민'과 '탈식민'의 시간적 구분은 무의미해진다. 중요한 것은 식민지의 정치적 종속이 아니라 ' 식민 세력이 타자의 몸과 공간에 스스로를 새겨 넣는 순간'인 것이다. 애거서가 소설 속에 녹여 넣은 '영원한 제국'을 이제는 좀 더 냉정한 시선으로 보아야 하지 않을까.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역사가가 찾은 16가지 단서>/설혜심/휴머니스트/p. 244

이 책에선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뿐 아니라 그녀의 삶에 대한 부분들이 상당 부분 담겨져 있습니다. 제 1,2차 세계대전 속에서 간호사와 약제사로 전쟁에 참여한다든지, 가정형편이 좋지 못해서 독학으로 공부를 하거나, 바쁜 와중에도 고향 집 근처 초등학교에서 했던 봉사활동, 자동차와 여행을 사랑하는 그녀의 이야기, 그녀의 소설안에 어떠한 형태로든 고스란히 담겨져 있습니다. <벙어리 목격자>,<창백한 말>,<죽음과의약속> 등에서 약학적 지식, 약물과 조제법 등을 자신의 전문성을 드러내기도 하고, 고고학자인 남편과 여행하며 익힌 발굴활동의 경험, 숙소에 대한 묘사들을 <메소포타미아의 죽음>,<바그다드의 비밀> 등에서 사실감있게 표현하기도 했다고 작가는 말합니다. 이렇듯 <애거서 크리스티 읽기>에선 16가지 테마속에 애거서의 삶과 성격, 좋아하는 것들과 함께 그녀가 살아온 시대, 역사학자의 관점에서 보는 영국, 영국 사회에서 일어나고 있는 일 등이 자세히 설명되어 있습니다. 


책을 읽는 내내 좋아하는 작가의 작품들을 좀 더 추억해 보며, 많은 작품들을 풍성하게 감상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애거서 크리스티의 작품안에 그려내고 있는 그 당시의 20세기 영국의 역사, 특히 세계대전 당시의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애거서의 삶과 그녀의 성향도 들여다 볼 수 있어서 그녀의 작품들을 좀 더 폭넓게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협찬받아 주관적인 견해에 의해 작성하였습니다.]

#애거서크리스티읽기 #역사가가찾은16가지단서 #설혜심 #휴머니스트 #컬처블룸 #컬처블룸리뷰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