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웃집 백만장자 (리미티드 에디션) - 1000명의 부자를 추적한 세계 최초 백만장자 보고서
토머스 J. 스탠리.윌리엄 D. 댄코 지음, 홍정희 옮김 / 지니의서재 / 2025년 8월
평점 :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이웃집 백만장자
: 지금까지 ’무엇을 먹을까‘를 고민했다면 이제부턴 ’어디에 투자할까‘를 생각하라
이 한 문장이 지금까지 살아온 나의 인생을 돌아보게 한다.
쉽게 말해 먹고 살자고 하는 일인데 월급 받으면 맛있는 음식이나 먹자라는 생각을 조금은 부끄럽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평범한 이웃이 하루아침에 백만장자? 푼돈이 모여 엄청난 재산이 되는 생생한 비법이 있기나 한 것일까, 경제적으로도 관심이 있고 노후도 관심을 가져아 하는 시기가 오면서 부자들의 이야기를 자꾸 찾아보게 된다. 이 때 만난 이웃집 백만장자, 범접할 수 없을 정도의 부를 가진 이들 대다수가 부자 동네에 살지 않았다라는 연구보고는 신선하게 다가왔다.
이웃집 백만장자는 미국에서 20년의 연구를 근간으로 백만장자의 개인 인터뷰, 고소득자 및 고순수익자에 대한 내용을 기록하고 있고 또한 실제 생활의 기록을 통해 부의 축척, 기초가 되는 문제들을 탐구한 내용이 담겨있다.
내가 생각하는 부자란, 고급주택에 고급차, 백화점 쇼핑만을 생각했지만 이 책에서는 부와 수입과는 일치하지 않는다고 말한다. 어떻게 부자가 될 수 있을까, 대부분 사람이 잘못된 인식을 깨워 줄 수 있는 이웃집 백만장자를 읽어본다. 눈에 띄는 단어 ‘자제력’ 의 중요한 부분도 확인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부자들의 공통점 중 한 가지는 소비는 적게, 나머지 모두 금융자산에 투자한다고 한다. 이전에 어떤 책에서 부자들은 돈을 사용하는 것보다 지키는 것을 중요 시 한다는 내용을 본 적이 있다. 가지고 있는 돈을 사용하기만 한다면 바로 탕진해버린다는 것이다. 또한 자녀에게도 그렇다. 무조건 필요한 돈을 지원해 주는 것이 아닌 자녀의 기초를 단단하게 교육에 지원에 아끼지 않는다는 것이다. 사회적 지위를 과시하는 것보다 재정적 독립을 중요 시 한다는 것이다. 보이는 것을 중요하지 않는다는 것 대한민국 현대사회에서 가능할까 하는 잠깐의 생각도 해본다.
여러 챕터에 따라 많은 분석과 사례들이 담겨있고 이 중 명품 가방엔 빚더미가 들었을지 모른다라는 4번째 챕터 부분이다. 그들이 보여주는 검소한 구매의 패턴과 신념 등을 엿볼 수 있다. 사례를 보면 많은 공통점이 담겨져 있다. 보여지는 품위가 아닌 실속 그리고 검소함과 절약이 함께 따라오는 그들을 보며 또 배운다. 백만장자는 성인 자녀에게 경제적 원조(EOC)를 해주지 않는다는 점, 자기가 번 돈보다 남의 돈을 쓰는 일이 훨씬 쉽다는 사실이다. 미래의 자녀를 위해 경제적 독립을 위한 검소와 절제의 가치관을 심어주기 위해 EOC에 지원을 고민하고 생각해봐야 할 내용이기도 하다.